서울대가 현재 고교 1학년이 치르는 2023학년도 대입부터 정시 모집 평가요소에 수능 성적뿐 아니라 교과평가(내신)도 반영하기로 하자, 교육단체가 긍정적 평가를 내놓고 있다. 정부가 권고한 ‘정시 40% 룰’(2023학년도까지 서울 16개 대학의 정시 비중 40% 이상)을 지키면서도 교육 불평등 확대, 고교 교육 파행 등 수능 쏠림 현상으로 우려되는 부작용을 상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서울대가 28일 공개한 ‘2023학년도 대학 신입학생 입학전형 예고사항’을 보면, 정시 모집 일반전형의 경우 1단계 평가는 수능 100%로 2배수를 뽑고, 2단계 평가에서 수능 성적을 80점 반영하고, 교과 평가는 20점 반영한다. 교과평가는 학교생활기록부의 교과학습발달상황만을 반영하는데, 진로·적성에 따른 선택 과목 이수 내용과 기초 교과 영역 및 모집단위 관련 교과 성취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등이 포함된다. 또 수시에만 있던 지역균형전형이 정시에도 신설되는데 이 경우 수능 60점, 교과평가 40점으로 나눠 평가한다. 서울대는 수시 지역균형전형의 수능 최저학력기준도 기준 ‘4개 영역(국어·수학·영어·탐구) 가운데 3개 영역 이상 2등급 이내’를 ‘4개 영역(국어·수학·영어·탐구) 가운데 3개 영역 등급합이 7등급 이내’로 완화했다.
서울대 관계자는 “예전부터 교육현장의 성취를 중시하고 고교교육 정상화에 도움되는 방향을 고민해왔고 정시에 교과평가를 반영하는 방안 역시 교육현장을 최대한 충실하게 반영하자는 취지”라며 “그동안 지역 등에 따른 쏠림 현상이 지적돼 왔는데 이번 전형으로 지역 편중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 현장에서도 긍정적 평가가 나온다. “‘정시 확대’라는 국민적 요구에 응답하면서도 정시 확대가 가져올 고교교육과정의 파행을 막기 위해 고심을 한 흔적”(김영식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이라는 것이다. 전대원 교사(경기 위례한빛고)도 “그동안 수능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자퇴를 하거나 학교 수업은 팽개치고 수능에만 매달리는 병폐가 있었다”며 “정시 교과평가 도입이 그런 병폐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 불평등 확대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29일 환영 논평을 내고 “지난해 정부가 느닷없이 정시 40% 확대를 선언하면서 특정 사교육 밀집 지역과 특정 계층에 유리한 입시 지형으로 교육 불평등이 심화될 위기에 처했는데, 서울대가 이런 비교육적 효과를 우려해 고육지책을 마련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서울대는 정부로부터 정시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목받은 16개 대학 가운데 하나로, 수능 위주 전형 비율은 2021학년도 21.9%에서 2022학년도에는 30.1%로 높아졌다.
이유진 최원형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