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여성

여성임원 ‘0명’인 상장법인 63.7%… 여성임원 비율은 5.2%에 그쳐

등록 2021-08-05 11:00수정 2021-08-05 13:56

여성가족부 2246개 상장법인 성별 임원 현황 조사 결과
여성 노동자 244명당 1명이 임원, 남성은 39명당 1명
자산 2조원 넘는 GS리테일, 롯데하이마트, 현대산업개발은 여성임원 없어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상장법인의 여성임원 비율은 지난해보다 0.7%포인트 증가한 5.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임원이 한 명도 없는 기업 비율은 63.7%에 달했다. 기업 경영의 흐름을 주도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이에스지(ESG·환경, 사회, 기업지배구조를 중시하는 경영·투자 전략)와 임원의 성별 다양성의 확보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관련 법이 마련되는 등 변화가 있으나 여성임원 비율의 개선은 더디다.

여성가족부는 5일 2021년 3월까지 사업보고서를 낸 2246개 상장법인의 성별 임원 현황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여가부는 2019년부터 양성평등기본법 제20조3항에 근거해 해마다 같은 조사를 해 발표한다. 올해는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기업의 성별 임원 현황도 발표했다. 이 기업들은 내년 8월 5일부터 이사회의 이사를 특정 성으로만 구성할 수 없도록 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제165조의20(이사회의 성별 구성에 관한 특례)’의 적용을 받는다.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
상장법인 임원의 성별을 보면, 2246개 기업의 전체 임원 3만2005명 가운데 여성 비율은 5.2%(166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5%보다 0.7%p 올랐다. 임원 형태별로 보면, 등기임원 가운데 여성 비율은 4.8%, 미등기임원은 5.5%였다. 여성임원이 1명도 없는 기업 비율은 63.7%(1431개)였다. 올해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유리천장지수 내 경영진과 이사회의 여성 비율을 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은 25.6%다. 국내 상장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은 지난해보다 개선됐지만, 국외 평균에 견줘 한참 낮다. 클리오(75%), 솔본(60%), 에스엠(SM)라이프디자인(60%), 키이스트(57.1%)는 여성임원 비율이 높았다.

전체 조사 대상 기업에서 일하는 여성노동자는 40만6631명, 여성임원은 1668명으로 여성 노동자 대비 여성임원 비율은 0.41%였다. 남성임원은 남성노동자 118만1047명 가운데 3만337명으로, 남성노동자 대비 남성임원 비율은 2.57%였다. 여성임원은 여성 노동자 244명당 1명꼴인데, 남성임원은 남성노동자 39명당 1명인 셈이다. 노동자 대비 임원 비율의 성별 격차는 6.3배에 달했다.

김경선 여가부 차관은 “여가부가 개별 기업들의 임원 현황을 공개하는 것 자체가 기업에 상당한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자본시장법에 제재 규정은 없지만, 최근에 국제적으로도 이에스지 투자, 피어 프레셔(Peer Pressure·동료집단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압력)를 중시하는 경향을 봤을 때 기업들이 많은 부담을 느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이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상장법인 성별 임원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여성가족부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이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상장법인 성별 임원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여성가족부
산업별 성별 임원 현황에서는 ‘유리 에스컬레이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가 나왔다. 유리 에스컬레이터는 여성이 더 많은 직업이나 직종에서 임원직 진출 가능성이 여성은 낮고, 남성은 높은 걸 가리킨다. 여성임원 비율이 비교적 높은 산업은 교육 서비스업(15.3%),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8.5%), 정보통신업(7.5%), 도매 및 소매업(7.0%)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 서비스업, 도매 및 소매업의 경우 여성 노동자 대비 여성임원 비율은 각각 0.34%, 0.22%로 평균 0.41%보다 낮았다. 교육 서비스업과 도매 및 소매업은 여성 노동자 비중이 각각 64.5%, 52.5%로 높은 산업이다.

문미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업이 다양성, 창의성, 유연성 등을 요구하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면 장기적으로는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여성 노동자의 비중이 높은 산업이라면 여성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치중하고 있을 텐데, 그런 기업에서조차 임원 구성에서 여성을 배제한다면 경쟁력을 갖춰나갈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기업 152개의 여성임원 비율은 5.7%로 전년 대비 1.2%p 증가했다. 임원 형태별로 보면 등기임원 중 여성은 8.3%, 미등기임원은 5.3%다. 여가부는 전체 상장법인보다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기업에서 등기임원 여성 비율이 더 개선된 이유를 내년부터 적용될 자본시장법 제도의 영향으로 봤다. 그러나 자본시장법 적용 대상 기업 중 44.1%(67개)는 여성 등기임원이 없어 아직 법 기준에 부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기업 가운데 여성임원이 1명도 없는 기업 비율은 22.4%(34개)였다. 지에스(GS)25 등을 운영하는 지에스리테일, 국내 최대 전자제품전문점인 롯데하이마트, 아파트 브랜드 아이파크를 건설하는 에이치디시(HDC)현대산업개발 등에는 여성임원이 없었다. 여성임원 비율이 높은 기업은 카카오(28.6%), 아모레퍼시픽(23.9%), CJ제일제당(23.2%), LG생활건강(18.8%), 코웨이(18.4%) 등이었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점진적으로나마 상장법인의 여성임원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점은 의미 있으나, 여성의 사회진출이 확대됐음을 고려할 때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라며 “기업이 의사결정 직위의 성별 균형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기업의 변화수준을 분석·발표하는 등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했다.

박고은 기자 eu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혐오와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지금, 한겨레가 필요합니다.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