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여성의 절반이 지금은 일하지 않더라도 앞으로 경제활동을 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단법인 서울여성은 지난 8월16일부터 9월1일까지 서울에 살고 있는 만 20살 이상 여성 2500명을 대상으로 여성정책 수요를 조사한 결과 이렇게 드러났다고 30일 밝혔다.
조사 결과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고 대답한 여성 1189명 가운데 53.4%는 ‘향후 경제활동을 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 가운데 가장 많은 42.6%가 ‘가사, 육아, 자녀 교육 때문에 경제활동을 못 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밖에 ‘내 수준에 맞는 일자리가 없어서’(43.1%), ‘나이가 너무 많아서’(26.9%), ‘취업에 필요한 기술이나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16%)라는 대답이 뒤를 이었다.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43.8%가 ‘출퇴근 시간의 탄력적 운영’을 꼽았다. 그 뒤로는 ‘직장 내 보육시설 운영’(33.8%), ‘출산 및 육아 휴가 때 대체 인력풀 운용’(16.6%), ‘아버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제 실시’(5.8%) 차례였다.
재단법인 서울여성은 31일 오후 2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되는 ‘2007~2010 서울시 여성정책 중기계획 공청회’에서 조사 결과와 함께 ‘서울시 여성정책 중기계획’ 초안을 발표한다. (02)776-5577, 내선 124.
이유진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