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멕시코에서 여성들이 여권운동의 상징색인 보라색 풍선을 날리고 있다.
AP연합
세계여성의 날 유래
‘세계 여성의 날’은 자본주의가 급속히 발전하던 20세기 초 미국에서 여성 노동자들이 권리 찾기에 나서면서 만들어졌다. 1908년 2월 말에 미국 맨하탄에서 1만5천여명의 여성들이 노동조합 결성권과 여성 참정권 등을 요구하며 대규모 행진을 벌인 것이 계기가 됐다. 1909년에도 11월부터 그 다음해 2월까지 뉴욕 의류산업 여성 노동자들의 대대적인 파업이 이어졌다. 그 뒤 전세계적인 여성의 날을 만들자는 독일의 여성운동가 클라라 제트킨의 제의에 따라, 1910년 8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2차 ‘국제사회주의여성회의’에서 ‘국제여성의 날’에 관한 결의가 채택됐다. 매년 3월8일에 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관행이 국제적으로 자리잡은 것은 1922년부터다. 한국에서는 일제시대인 1920년대 중반부터 ‘세계 여성의 날’ 기념행사가 열리기 시작해, 해방 뒤에는 ‘조선부녀총동맹’이 1946년과 1947년 3월 1일부터 8일까지 부녀해방투쟁 기념주간으로 정하고 기념행사를 열기도 했다. 그 뒤로 사회적 격변과정에서 맥이 끊어졌다가, 1985년 3월 8일에 전국 14개 여성단체가 주축이 되어 ‘민족·민주·민중과 함께 하는 여성운동’을 주제로 한 ‘세계여성의 날 기념 제1회 한국여성대회’가 열렸다. 1987년 2월 18일 한국여성단체연합이 창립한 뒤 매년 3월 8일을 전후해 한국여성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노동계에서도 여성의 날을 챙겨 왔다. 1988년부터 한국여성노동자회가 주최하는 3·8 여성대회 기념행사가 시작됐으며,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1996년부터 ‘세계여성의 날 기념 전국여성노동자대회’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2000년부터 ‘전국여성노동자대회’를 따로 개최하고 있다. 공동으로 조직위원회를 꾸린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정유경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