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단체연합과 한국성폭력상담소 등 30여개 여성단체 회원들이 5일 오전 서울 청계광장에서 ‘세계 여성의 날’(3월8일)을 기념해 ‘여성의 임신·출산 및 몸에 대한 결정권’이 여성에게 있음을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여성·인권단체 선언문
“현실 외면한 인권침해”
“현실 외면한 인권침해”
30여개 여성·인권단체들이 ‘임신과 출산, 낙태 등 여성의 몸에 대한 결정권은 여성 자신에게 있다’는 내용의 선언문을 발표했다.
한국성폭력상담소·한국여성의전화 등 30여개 여성·인권 단체들은 5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이를 기를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산만을 강요해서는 안된다”며 “모든 여성이 혼인상태, 연령, 계급 등과 상관없이 피임, 임신, 출산, 낙태를 비롯한 몸에 대한 모든 결정을 스스로 내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라”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최근 프로라이프 의사회가 낙태시술을 하는 병원 세 곳을 고발조치하고 정부가 낙태신고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며 “이는 낙태를 결정하는 여성들의 절박함과 위급함을 외면하고 여성을 국가발전과 유지를 위한 출산의 도구로 여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낙태시술병원 고발 등 ‘낙태 병원 단속’ 이후 생기는 여성들의 인권침해 현황에 대한 고발도 이어졌다.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은심 활동가는 “지난해 1~2월 낙태 관련 상담이 6건이었는데 올해 1~2월에는 낙태 관련 상담이 19건으로 대폭 늘었다”며 “성폭력으로 임신을 해 낙태가 불가피한 경우에도, 해당 병원이 ‘증거를 가져와라’ ‘고소장을 가져오라’는 등 2·3차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미진 다함께 여성위원회 활동가도 “최근 낙태 시술 비용이 임신 초기이면 100만원, 임신 후기이면 300만원까지 치솟았다”며 “비혼모에 대한 인식개선, 사회적인 육아환경 개선 없이 무조건 아이를 낳으라고 법적으로 강조만 하는 것은 여성의 현실을 외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수진 기자 ji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