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가족을 배려하는 정책을 펴겠다는 여성가족부의 구호가 공허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진은 지난 23일 여성가족부 현판식.
“혼인·혈연·입양관계만 가족”…현행 건강가족기본법에 반발
여성가족부 출범 일주일 안돼
공동체·사실혼으로 개념 넓힌 대체입법안 나오는 등 ‘삐걱’
‘파파쿼터제’ 등 정책도 저소득층 현실 외면 비판 지난 23일 ‘여성부’에서 명칭을 바꾸고 재출범한 여성가족부의 가족 정책에 대해 말이 많다. 여성가족부는 출범 초기부터 소수의 다양한 가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기실 핵가족 중심의 ‘평균 가족’에게만 도움이 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가족친화 환경을 만들겠다는 정책도 중산층 위주라는 지적이다. 한 여당 의원은 여성가족부의 이런 방향이 정책 근거가 되는 건강가정기본법에서 비롯된 문제라며 여성가족부 출범 뒤, 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대체입법안을 내기도 했다. 말로만 다양한 가족 지원? =여성가족부는 가족정책의 대상이 독신 같은 1인 가구부터 부모중심의 핵가족, 이혼가족, 재혼가족, 국제결혼 가족 등이라고 밝혔다. 동성애 가족, 동거 가족, 공동체 가족 등은 제외되는 셈이다. 실제 지금까지 이런 ‘가족’들을 위해 여성가족부가 내놓은 정책은 미혼모를 돕는 ‘중간의 집’의 확대 정도가 고작이다. 여성가족부의 등장으로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정을 바라던 이들에겐 실망감이 컸다. 이런 이유로 여성가족부의 출범과 동시에 여성계와 민주노동당은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우선 이혼률 증가, 결혼과 출산 기피 현상의 원인을 가족 관계 및 가족구성원 간의 유대가 약화된 데에서 찾고, 이런 현상을 극복하려고 가족간 유대를 강화하겠다는 시도 자체가 보수적이란 지적이다.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 김원정 정책연구원은 “여성가족부가 다양한 가족형태를 지원하겠다고 하지만 실은 이를 ‘사회문제’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폭력상담소 이미경 소장은 “여성가족부의 가족정책에 가족의 유지를 바라는 목소리가 주류인 반면, 친족 성폭력 문제나 가정폭력 같은 문제는 뒤로 밀려나 우려스럽다”고 평가했다.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