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출산 여성 사망비, OECD 국가 평균 2배
임신과 출산으로 숨지는 여성의 사망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의 2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 늦어지면서 고령자 임신이 늘어나는 탓이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9~2011년 사망원인 보완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출생아 10만명당 모성사망비는 17.2명으로 전년에 견줘 9.2%(1.4명)가 증가했다. 우리나라 모성사망비는 2008년 12.4명까지 낮아졌다가 2009년 13.5명, 2010년 15.7명, 지난해 17.2명으로 늘어났다. 이런 비율은 2010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의 평균 9.3명의 1.7배 수준이다. 모성사망비는 임신 또는 분만 후 42일 이내에 숨진 여성을 해당 연도의 출생아 수로 나눈 수치다.
통계청은 평균 출산연령과 고령 산모의 구성비가 증가해 모성사망비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했다.
실제 평균 출산연령은 2009년 30.97살에서 지난해 31.44살로 올랐고, 35살 이상 고령 산모의 구성비는 같은 기간 15.4%에서 18.0%로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모성사망비가 40살 이상이 79.7명으로 가장 높았다. 24살 이하(10.9명), 25~29살(10.0명), 30~34살(12.4명)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35~39살(30.1명)부터 급증했다. 모성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는 분만 후 출혈, 색전증(주요 혈관이 괴사되는 현상) 등이 전체의 69.1%를 차지했다.
권은중 기자 detail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