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제1203차 정기 수요집회가 열린 서울 종로구 율곡로 일본대사관 앞에서 4일 낮 학생들이 일본의 진정한 사과를 요구하고 역사교과서 왜곡을 비판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한일정상회담 뒤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율곡로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참석자들은 “일본 정부는 국제 사회의 지적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끊임없이 은폐하고 축소하려 하고 있다. 한일정상회담에서 아베 일본 총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구체적인 해결 내용이나 원칙을 말하지 않았다.”라며 한일정상회담 내용을 비판하고, “일본군 위안부 범죄를 인정하고 공식사죄와 국제법에 따라 배상하라”고 일본정부에 요구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윤미향 상임대표는 “정부의 국정 교과서 소식을 들으며 ‘잘못된 역사를 국민이 바로잡아야 한다’는 선생님의 말씀이 생각난다.”며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 고시를 비판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제1203차 정기 수요집회가 열린 서울 종로구 율곡로 일본대사관 앞에서 4일 낮 학생들이 일본의 진정한 사과를 요구하고 역사교과서 왜곡을 비판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제1203차 정기 수요집회가 열린 서울 종로구 율곡로 일본대사관 앞에서 4일 낮 학생들이 일본의 진정한 사과를 요구하고 역사교과서 왜곡을 비판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