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여성

“화기애애하게 좀 삽시다”

등록 2005-10-25 17:49수정 2005-10-26 17:44

5년만에 신작 <화기애애> 선보인 장희선 감독

“성희롱이 재밌니?” ‘화기애애’ 선보인 장희선 감독
“성희롱이 재밌니?” ‘화기애애’ 선보인 장희선 감독

장희선(32) 감독은 여성문제에 관심을 갖고 극영화를 찍어온, 드문 여성 영화인이다. 그의 영화는 성인지적 관점이 뚜렷하면서도 다큐보다 재미있고, 우울하다기보다는 재치있다는 평을 들어왔다. 때문인지 유난히 여성계에 고정팬이 많다. 지금까지 선보인 그의 영화는 3편. 모두 우리 사회의 여성을 소재로 한 독립영화들이다. 이번에는 어떨까. 신작 <화기애애>의 촬영과 편집을 마친 장 감독을 지난 20일 만났다.

“속상한 것 투성이에요. 시간이 모자라서 제대로 못 찍은 것 같고, 시나리오 작업도 좀더 욕심을 내면 어땠을까 싶고….”

그가 이번에 내놓은 작품은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이하 한여노협)가 제작한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용 영화다. <화기애애>란 제목은 ‘분위기를 화기애애하게 만들려고 했을 뿐, 성희롱이나 성폭력은 아니었다’는 가해자들의 논리를 빗댔다. 성희롱이 없어야 진짜 ‘화기애애’한 사회를 이룰 수 있다는 뜻도 함께 담았다. 한여노협쪽은 이 영화를 기획하면서 여성과 노동 문제에 식견이 있으면서도 극영화를 하는 여성 감독을 찾았다. 5년 전, <재희이야기>로 직장내 성희롱 관련 영화를 함께 만들었던 장 감독은 당연히 섭외 1순위였다.

성희롱 등 불편한 여성주의 소재 재미있고 재치있게 풀어내
10개월간 배우 70명 동원한 ‘욕심낸’ 작품으로 돌아와

성희롱 예방이라는 좋은 뜻을 품고 있다고 해도, 계몽적인 영화가 눈 높은 관객들에게 쉬 ‘먹힐’ 리 없다. 더욱이 옴니버스로 구성한 영화 4편을 관통하는 주제가 모두 성희롱이라는, 우리 사회에 만연해있지만 서로 감추기 바쁜, 다소 ‘불편한’ 소재 아닌가. <재희 이야기>를 상영할 때도 일부 남성들은 “우리를 나쁜 사람 취급한다”고 불평했다. 영화가 아닌 실제에서도 성희롱을 고발하는 피해자를 이상하게 보는 눈들이 있다는 건, 어쨌거나 현실이다.

“한여노협이 받은 상담 내용을 각색해 시나리오를 썼어요. 15년 전에 당한 성희롱 때문에 괴로워하다가 최근에서야 상담한 여성의 이야기도 영화에 녹여냈구요. 영화가 실제와 얼마나 닮아있는지는 시각 차이가 있겠죠. 남자 스태프들 사이에서도 ‘이런 사람이 없다’, ‘실제로 이런 사람 많다’는 얘기가 엇갈렸으니까요.”

그는 대학에 다니면서 여성학과 영화를 공부했다. 졸업 뒤, 고민의 결과물을 영화로 선보였다. 97년 남녀공용화장실 에피소드를 다룬 독립영화 <웰컴>(16㎜ 단편)부터 <고추말리기>(99년, 16㎜ 중편), <재희이야기>(2000년, 16㎜ 중편)까지 3편의 영화 모두 여성의 이야기를 소재로 했다. 상복도 있는 편이었다. <웰컴>은 제1회 서울여성영화제 단편 부문 우수상, <고추말리기>는 제2회 서울여성영화제 우수상과 관객상, <재희이야기>는 제3회 서울여성영화제 영상공동체 부문 여성신문사상, 제25회 한국독립단편영화제 새로운 시선 부문 우수상을 받았다. 특히 <고추말리기>는 야마가타 영화제, 베를린 영화제 등에 초청돼 외국에서 상영하기도 했다.

메가폰을 놓은 지 5년만에 시작한 이번 작품은 유독 “욕심을 많이 냈다”. 지난 10개월 동안 17명 스태프들과 단역을 포함, 70여명 배우들이 땀을 쏟았으니 대개의 독립영화에 비해 규모가 큰 셈이다. 길이도 각편 15~20분짜리에서 20~30분으로 늘였다. 주위 도움도 많았다. 드라마 <해신>과 <달마야 놀자>로 유명한 배우 이원종씨는 사회에 기여하는 취지에서 두번째 에피소드인 ‘미선씨 이야기’에 기꺼이 노개런티로 출연했다. 장소 섭외에 어려움을 겪은 주유소신을 찍을 때는 그곳 사장이 영화 스태프 출신이라며 촬영에 배려를 아끼지 않았고, <고추말리기>에서 배우 못지 않은 연기를 보여준 그의 어머니는 다시 배우로 참여해 딸을 든든히 떠받쳤다.

“지금까지 특히 여성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죠. 제가 빨리 장편 극영화 데뷔를 했으면 하고 바라는 여성들도 많구요. 뭘 하든 적어도 여성주의에 폐는 끼치지 않겠다는 생각이에요.”

글·사진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화기애애> 어떤작품?

4편 옴니버스에 담긴 우리시대 성희롱 풍경

<화기애애>는 4편의 옴니버스 형식을 띤 디지털 6㎜ 영화다. 첫번째 에피소드는 ‘첫 경험’(22분). 사회 초년병인 아르바이트 고등학생의 경험담을 다뤘다. 소연은 방학을 맞아 첫 아르바이트를 시작하지만 화장실에서 주유소 손님에게 성희롱을 당한다. 사장은 그를 두둔하긴커녕, 처신을 나무라기만 한다. 두번째 ‘미선씨 이야기’(30분)는 은행 비정규직으로 임신중인 미선씨에게 정규직 채용을 미끼로 상무가 은근슬쩍 접근한다는 이야기다. 세번째 ‘무슨 일이 있었길래’(27분)는 10년 전 겪은 성희롱의 경험 때문에 괴로움을 겪는 공인중개사 은하가 주인공이다. 신입사원시절, 야유회를 갔다가 성폭행을 당할 뻔한 그는 주위의 눈총을 견디다 못해 회사를 그만둔다. 네번째 ‘각주구검’(25분)은 일상적인 상사의 언어 성희롱에 시달리는 미정과 성희롱 문제를 깨달아가는 남성의 모습을 그렸다.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는 오는 27일 오후 5시 서울여성플라자 1층 아트홀에서 열릴 이 영화의 시사회에 참석하는 단체나 공공기관 등에 <화기애애> 디브이디를 무료로 나눠주기로 했다. (02)325-6822.

이유진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혐오와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지금, 한겨레가 필요합니다.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