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 장문의 글 올려
“계획적 범죄 가능성 높아…
법정 최고형 이끌어내야”
“계획적 범죄 가능성 높아…
법정 최고형 이끌어내야”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출처 : 페이스북
[디스팩트 시즌3 #5_언론은 왜 성폭력 가해자 시각에 복무할까]
이하는 표 의원 페이스북 글 전문
성폭력, 학교폭력, 아동학대를 포함한 범죄와 충격적 사고의 피해자들이나 가족들은 (개인차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최초의 충격 - 혼돈 - 순응과 회복 - 적응 및 정상화의 4단계를 거칩니다.
1단계 ‘최초의 충격’
사건이 발생해 육체적 정신적 충격이 발생해 상처가 생기고 정신적 마비 상태에 빠지기 쉽습니다.
2단계 ‘혼돈’
“도대체 왜, 내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거지?”에 대한 합리적인 답을 찾지 못해 혼돈에 빠지며 극심한 불안과 두려움, 적대감, 분노 등의 감정적 격동에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지어 ‘답을 찾아 이해해야 한다’는 강박적 방어심리로 인해 잘못된 죄책감을 느끼고 자신을 탓하는 ‘쉬운 결론’을 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불면증, 우울감, 알콜이나 약물의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만약 전문적인 치료와 지원을 받지 못할 경우 장기간 이 ‘혼돈’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해 주위 기족이나 지인으로부터 지겹다, 언제까지 그렇게 살거니 등의 잘못된 반응을 접하게 되기 쉽고 그로인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에 빠지기 쉽습니다.
3단계 ‘순응과 회복’
2단계 ‘혼돈’이 전문적인 치료 등으로 인해 잘 극복이 되면 피해자는 피해 사실 자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순응을 하게 되고 자신이나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라도 피해 이전의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고 싶다는 희망을 가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상처의 치유가 시작되는 ‘회복’ 단계에 들어설 수 있습니다.
4단계 ‘정상화와 적응’
3단계가 잘 진행된다면, 이제 피해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피해 경험을 드러내고 주변의 질못된 호기심에 찬 눈을 피하지 않고 자신의 잘못이 아님을 당당하게 느끼며 세상으로 나서는 ‘정상화’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마치 신체장애를 가지거나 입게 된 분들처럼 ‘피해의 기억과 경험, 주변의 인식을 안고 살아가는’ 적응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너무나 안타깝게도 우리 사회의 피해자에 대한 인식이 아직은 너무도 낮아 위 4단계가 잘 진행되는 사례가 많지 않습니다. 부디 신안군 집단 성폭행 피해 교사께는 당국과 주변의 신중하고 전문적이며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피해자 지원과 보호가 이루어지길 기원합니다. 이를 계기로 다른 강력사건과 충격적 사고 피해자 분들께도 제대로 된 피해자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길 기원합니다.
저도 국회의원으로서 입법 등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