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학 간호학과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시작하기에 앞서 ’나이팅게일 선서’를 하는 모습.
예비 간호사들인 간호대생의 절반 이상이 현장실습 중 성희롱 피해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는 40~50대 남성 환자가 대부분이었고, 피해 학생들은 어찌할 바를 모르거나 도움을 받을 수 없을 것 같아 적극적 대처를 하지 않고 있었다.
8일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학술지에 실린 논문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시 성희롱 피해경험, 성희롱 심각성 인식 및 자아존중감’을 보면, 지난해 5~6월 국내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191명(여 173명, 남 18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성희롱 피해를 직접 경험한 이가 절반이 넘는 50.8%(97명)였다.
국내에서 간호사가 되려면 병원과 지역사회 관련 기관에서 1000시간 이상 현장실습을 이수해야 한다. 간호 업무의 특성상 대상자와 긴밀히 접촉해야하는데다, 학교 성적에 반영되는 실습 과정에 있는 학생 신분이라 더더욱 성희롱 피해에 쉽게 노출돼 있었다.
이들이 경험한 성희롱은 신체적 성희롱이 147회로 가장 많았고, 언어적 성희롱 72회, 시각적 성희롱 55회, 성역할 관련 성희롱 46회 순이었다.
신체적 성희롱 가해 사례 가운데 가장 많은 것(중복응답)은 ‘길을 막거나 이동을 방해하는 행위’(직접 피해자 97명 중 45.3%가 경험)였고, 다음으로 ‘의도적으로 몸을 스치고 지나가는 행위’(44.3%), ‘원치 않는 신체적 접촉, 포옹이나 신체를 밀착하는 행위’(30.9%)의 순서였다.
언어적 성희롱은 ‘성적인 농담, 외설스러운 대화나 통화’가 26.8%로 가장 많았고, 시각적 성희롱은 ‘상대방의 특정 신체 부위를 쳐다보거나 훑어보는 행위’가 40.2%로 가장 많았다. 성역할 관련 성희롱으론 ‘무리하게 옆에 앉을 것을 강요하는 행위’가 40.2%로 가장 많았다.
성희롱 가해자는 환자가 93.8%로 대부분이었고, 환자의 보호자가 6.2%였다. 가해자 연령은 40대가 42.3%, 50대가 35.1%순이었다.
조사 대상자들은 임상실습 동안 성희롱 피해를 경험하는 경우 가장 많은 108명(56.5%, 중복응답)이 ’저항하기 힘들어 어쩔 수 없이 참는다’라고 답했다. 다음으론 91명(47.6%)이 ‘간호부 혹은 학교에 보고한다’, 69명(36.1%)이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는다’, 62명(32.5%)이 ‘친구나 부모에게 이야기한다’ 순이었다.
성희롱 피해 때 적극 대처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가장 많은 113명(59.2%, 중복응답)이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라 답했고, 88명(46.1%)이 ‘도움을 받을 수 없을 것 같아서’, 80명(41.9%)이 ‘학교가 실습기관으로부터 실습 중단 등의 불이익을 당할 것을 우려하여’라고 답했다. 75명(39.3%)은 ‘용기가 없어서’, 63명(33.0%)은 ‘가해자로부터 보복이 두려워서’, 60명(31.4%)은 ‘실습에서 불이익을 받을까봐’라고 했다.
연구진은 “학습 현장인 임상실습 과정에서 보호받아야 할 학생들이 성희롱에 취약한 상태라는 사실을 병원뿐 아니라 해당 학교도 인식하고, 기관 차원의 적극적인 방지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