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여성 대표성 제고 계획’ 점검 결과
330개 공공기관에 여성 임원 최소 1명 이상
330개 공공기관에 여성 임원 최소 1명 이상
지난해 정부 각종 위원회의 위촉직 위원 가운데 여성 비율이 처음으로 법정기준인 40%를 넘어섰다. 교장·교감의 여성 비율도 40%를 넘는 등 공공부문 내 여성의 의사결정 권한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26일 국무회의에서 ‘공공부문 여성 대표성 제고 계획’(2018~2022년)의 이행을 위해 지난해 실적을 점검한 결과 공공부문 전 분야 여성 참여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점검 결과 정부위원회 위촉직 위원과 교장·교감 중 여성 비율은 지난해 각각 40.2%, 40.6%로, 5년 전 25.7%, 24.6%에 견줘 크게 개선됐다. 4급 이상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같은 기간 9.3%에서 14.7%로 늘었고 공공기관 관리자는 11.5%에서 18.8%로 증가했다. 군 장교는 5.8%에서 7.4%, 부사관은 3.6%에서 5.0%로 소폭 늘었다. 경찰도 일반 경찰이 7.5%에서 10.9%로, 해양경찰이 8.7%에서 11.3%로 소폭 증가했다.
정부는 올해 여성 관리자 확대를 위한 법·제도 개선 등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중앙선발시험위원회의 여성 위원을 40%까지 확대하도록 관련 지침을 개정하기로 했다. 또 내년까지 모든 공공기관에 여성 임원이 1명 이상 선임되도록 ‘여성 관리자 인력활용 계획’을 연도별로 수립하기로 했다. 지난해 11월 기준 330개 공공기관 가운데 여성 임원이 전혀 없는 기관은 134곳이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