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전 충남도지사가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열린 모친의 발인식을 마친 뒤 조승래 의원(오른쪽 첫번째) 등 조문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의 모친상 빈소에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해 박병석 국회의장,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등 주요 정치인들이 공식 직책을 내건 조화와 조기를 보낸 점을 두고 “성범죄자를 비호하는 남성연대”란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정치인들이 개인의 조문 여부와 별개로, 안 전 지사와의 인연을 강조하거나 ‘위력에 의한 성폭력’으로 징역을 살고 있는 현 상황을 두고 “안타깝다”는 식의 발언을 가감없이 한 점도 논란이 됐다. 성폭력 가해자인 안 전 지사를 두둔하고 ‘정치적 건재함’을 드러내는 역할을 했다는 이유다. 정부·정당·부처의 이름으로 보낸 조화와 조기를 세금이 아닌 “사비로 처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7일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성명을 내고 “애도와 위로보다 형식과 절차, 의례를 중요시하는 가부장적이고 정치적인 한국의 장례문화는 가족, 특히 남성의 인맥, 지위, 영향력을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이라며 “조문 행렬에 동참한 정치인들과 조화에 내걸린 명패로 성범죄자 안희정은 그의 정치적 건재함을 세상에 드러낼 수 있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장례식장을 찾은 정치인들의 발언은 “성범죄자도 언제든지 정치영역으로 돌아올 수 있음을 공개적으로 승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빈소를 찾은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 아버지도 제가 징역살이할 때 돌아가셨다. 굉장히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고, 김부겸 전 의원은 “여러가지로 어려운 사정인데 이런 일까지 당했으니까 당연히 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여.세.연은 민주화 운동 당시 이인영 의원이 징역살이를 한 것과 안 전 지사의 상황을 구별해야 한다며 “안희정은 더 이상 민주투사가 아닌 성범죄자”라고 지적했다. 김부겸 전 의원의 발언에 대해선 “여러가지로 어려운 사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위력에 의한 성폭력으로 징역 3년6개월을 복역 중인 성범죄자”라고도 꼬집었다. 여.세.연은 “정치인의 행보 모두가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라며 “‘정치인’ 안희정이 ‘동료’ 정치인과 다시 조우하는 모습은 ‘가해자는 감옥으로, 피해자는 일상으로’돌아가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고 비판했다. 권김현영 여성학 연구자도 “애도는 비공개 가족장으로도 할 수 있을텐데 굳이 언론에 얼굴을 드러내고 조문객을 맞이했어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권력을 과시하는 장례식 문화가 그대로 드러난 것으로 피해자의 고통을 되살아나게 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앞서 정의당도 6일 브리핑에서 “(안 전 지사의 성폭력 사건에 대해) 민주당도 반성의 의지를 표한 바 있는데 오늘의 행태는 정말 책임을 통감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대법원 판결 이후에도 끊이지 않는 2차 가해 앞에 피해자는 여전히 일상에서 힘겨움을 겪고 있다. 오늘 같은 행태에 피해자와 한국 사회에 ‘성폭력에도 지지 않는 정치권의 연대’로 비춰지지 않을지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국회 내 페미니스트 모임인 ‘국회페미’도 같은 날 성명을 통해 “오랫동안 함께 일한 동료의 모친상을 개인적으로 찾아 슬픔을 나누는 것은 당연한 도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나 안희정씨는 더 이상 충남도지사가 아니다. 정부의 이름으로, 정당의 이름으로, 부처의 이름으로 조의를 표해선 안 된다”며 “조화와 조기 설치 비용은 국민의 혈세나 후원금으로 치러졌을텐데 이를 개인비용으로 전환해 처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회페미는 또 “이번 일이 마치 안희정씨의 정치적 복권과 연결되는 것으로 국민이 오해하는 일이 절대 없도록 (정치인들은) 발언과 행동을 주의했어야 한다”며 “직위와 소속을 오용해 조의를 왜곡하고 빈소에서 경솔한 발언을 한 일부 조문자에게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박다해 기자
doal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