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착각하지마! 회사가 당신 편일 것 같아?

등록 2011-11-24 13:5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픽 이정희 기자 bbool@hani.co.kr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처세 베스트셀러 작가 사장S의 충고
회사는 이익 위해 존재한다는 냉혹한 진실
가 대범하게 한 중견기업의 사장 S를 불러냈다. 직장 처세 책을 펴내 베스트셀러 자리에 올린, 처세판에선 알 만한 이들은 다 아는 거물급 인사다. 묻고 싶었다. 직장생활,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 거냐고. 사원에서 시작해 사장까지 해봤으니 당신은 뭔가 알고 있지 않겠는가. 이러저러한 권유와 충고, 다소 힘 빠지는 듯했다. 냉혹한 현실은 안드로메다로 탈출하지 않는 이상, 벗어날 수 없다. 듣고 있나, 직장인들이여! 유에프오를 만드는 수밖에 없다. 그게 아니라면, 정(신)줄 놓지 말고 사장 S의 말에 귀 기울여 보자는 거.

직장은 ① 공동의 목표를 갖고, ② 모여서 일하는 곳 공동의 목표라는 것, 기업에서는 1차 목표가 이익 창출이지. 그 목표에 동의가 돼야 하는 거야. 둘째, 모여서 일하는 게 그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있으니까 그렇게 하는 거야. 이 두가지를 부정할 거면, 직장에 있으면 안 되지. ‘전문직 하면 된다’고? 전문직 모여 만든 병원 가면, 전문적으로 자기 일만 하면 될까? 아니야. 전문직이 모인 병원에서 일하는 건, 직장 조직이랑 꼭 같다고. 내 일만 제대로 하면 된다는 사람들? 혼자서 재주껏 회사에서 자리잡고, 승진해 올라가 보라고 해.

조직생활 능력은 100% 후천적 노력 직장생활 해나가는 능력은 인간 어느 누구나 ‘제로’에서 시작해 키워나가는 거야. 그러니까 노력을 투입할수록 그 능력은 커지는 것이지. 직장에 있는 상사도 후배들에게 그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잔소리, 쓴소리 해줘야지. 그런 사람 솔직히 만나기 싫잖아? 그래도 잘난 척하지 말고 몸 낮춰 잘 들어둬. 낙하산 아니라면 상사 자리까지 올라간 데 이유가 있을 것 아니야. 정 없으면 그것도 안 해. 그저 멀어질 뿐.

우리도 태도를 채용한다 미국의 사우스웨스트항공, 종업원 지주제를 채택하고 있는 저가항공사야. 이 사람들의 면접 방식이 어떤지 알아? 한 조를 만들어, 한 명씩 돌아가면서 발표하도록 하지. 면접관들은 발표자를 보고 있지 않아. 발표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의 태도를 보지. 그들의 채용 원칙, 슬로건이 바로 ‘우리는 태도를 채용한다’야. 다른 사람 이야기 안 듣고 지겹다는 태도를 보이는 사람, 회사 들어와 회의에선 어떨까? 도덕군자 이야기이지만, 이런 이유로 겸손, 경청 등의 태도와 습관이 중요하다는 거지. 바로 이런 능력을 후천적으로 노력해 키울 수 있는 거고.


회식 말고 다른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자리잡지 않았다면, 군말 말고 따라나서길 외국계 회사가 회식이 많지 않은 이유? 회식 말고도 소통 경로가 견고하기 때문이지. 그게 없는데, 회식은 안 했으면 좋겠고, 안 하는 게 부럽다고? 소통은 딱 성공하고 싶은 기대치만큼 하면 돼. 성공에 대한 기대치 높지 않다면, 소통도 적당히 하라고. 외국계 기업에서 회식은 안 해도, 조직에서 살아남으려고 얼마나 대화를 많이 하는데. 한국 기업도 바뀌어가고 있지. 그런데 그게 아직 아예 사라지지 않은 문화라면, 따라나서.

상사와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할 직장이 있고, 먼저 떠나야 할 직장이 있지 직장을 꼭 한 군데만 고수해야 하는 건 아니야. 그것은 전적으로 개인의 선택 문제고. 떠날 곳인지 아닌지를 가늠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나쁜 상사가 잠시 있는 직장은 떠날 곳이 아니야. 그가 잠시 있는 거라면 문제는 해결될 것이고, 그 잠시 동안의 갈등은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결해나갈 필요가 있지. 나쁜 상사가 계속 자리잡고 있을 것으로 보이고, 상사의 상사가 그 나쁜 상사를 알아채지 못하는 직장이라면 떠날 선택을 할 수도 있어. 나쁜 사과를 골라내지 못하는 회사라면… 비전이 있겠어?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