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셋이 무슨 짓을 하는 거냐

등록 2016-10-05 19:19수정 2016-10-05 19:39

[매거진 esc] 헐~
카페 ‘커피 미 업 썸웨어 인 오사카’의 원두 볶는 과정.
카페 ‘커피 미 업 썸웨어 인 오사카’의 원두 볶는 과정.
지하철 2호선 합정역 방향인 줄 알았던 740번 버스는 반대 방향으로 달렸다. 노선을 잘못 안 내 불찰이었다. 해는 지고 몸은 지쳐 있었다. 급하게 내리자 작은 불빛이 눈에 들어왔다. 커피집이었다. 해 저무는 늦여름, 물먹은 솜처럼 축 처진 내 몸이 잠시 쉴 장소로 적당해 보였다. 위치를 애써 외울 필요는 없었다. ‘다시 오지 않을 거니깐!’ 지나치게 얇고 가벼워 천박하기까지 한 인간관계는 연을 잇지 않는 게 낫다. 이 커피집도 ‘스쳐 지나가는 매우 얇은 관계’였다.

메뉴판은 간단했다. 5가지 커피밖에 없었다. 한 가지를 골랐다. 머금는 순간 묵직했다. 탄탄하면서 물컹한 것이 내 안에 들어온 느낌이었다. 밀도가 높고 농도가 짙은 탱탱한 푸딩이나 단단한 두부의 식감이 느껴졌다. 이런 걸 ‘풀 바디’(full body)라고 하지! 침샘이 폭발할 것처럼 신맛이 강한 동시에 강배전(커피콩을 오래 볶는 것)과 융드립(플란넬 천으로 만든 주머니에 커피 가루를 넣어 추출하는 법)을 해 매우 진했다. 나는 신맛을 좋아한다. 주로 가벼운 신맛을 즐겨왔다. 그런데 이 무거운 신맛에 푹 빠졌다.

바리스타는 에티오피아산과 케냐산 두 가지 원두를 섞은 커피로, 주인이 개발한 맛이라고 했다. 이름도 주인이 지었다. 마실수록 늘어진 몸이 깨어나고 세포가 일어섰다. 떨칠 수 없는 상상 때문에 몸이 흥분하기 시작했다. 나는 물었다. “왜 이름이?” 설명은 길었다. 커피 추출 과정에 관한 것이었다. 들리지 않았다. 커피의 이름은 이랬다. ‘쓰리썸’. 영어사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1. 3인조 2. 세 명이 함께 하는 성행위’. 커피집 ‘커피 미 업 썸웨어 인 오사카’(Coffee Me Up Somewhere in OSAKA)의 커피 ‘쓰리썸’은 섬세하면서도 강했다. 노트에 주소를 적었다. 잠시 쉴 장소, 스쳐 지나가는 얇은 관계가 ‘깊은 관계’로 바뀌는 순간이었다.

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