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뽀짝

등록 2018-03-08 09:22수정 2018-03-08 09:37

[ESC] 알면 쓸데 있는 신조어사전

국어사전에는 ‘바싹’의 전라도 사투리라고 돼 있다. ‘바싹 마르다’, ‘바싹 붙지 마’가 전라도에선 ‘뽀짝 마르다’, ‘뽀짝 붙지 말랑게’가 된다. 그런데 팬덤 문화에서는 다른 형용사에 붙어 강조하는 의미를 갖는다. ‘○○○의 깜찍뽀짝한 사진을 꺼내 본다’에서는 매우 깜찍하다는 뜻이다. 상큼뽀짝, 큐티뽀짝 등으로 쓰이는데 실제 대화보다는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글에서 주로 쓴다. 예부터 글에만 쓰는 문어체와 일상 대화의 구어체 등 말과 글이 분리된 불일치가 있었다. 요즘은 글로 쓰는 구어체가 더 많이 생겨 언어생활이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

한국트렌드연구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