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의과학리포트] “한번 들숨에 밀려드는 곰팡이 1~10개”

등록 2009-07-27 20:32

[건강2.0] 독일 연구팀, 유럽 공기 1㎥에 1천~1만개 곰팡이 포자 채취
공기 중에는 그동안 알려진 것보다 더 많고 더 다양한 곰팡이 포자들이 떠다니고 있으며 우리는 숨 쉴 때마다 1~10개의 포자를 마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독일 연구팀이 밝혔다.

국제 과학저널 <미국 국립아카데미 회보>(PNAS) 최근호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독일 막스 플랑크 화학연구소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대학 연구팀은 여러 지역의 공기를 채집한 뒤 공기 중 미세입자와 먼지들에 달라붙어 있는 곰팡이 포자들의 디엔에이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일부 곰팡이들이 동식물에 알레르기나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생태계와 기후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다른 연구들에서 밝혀지고 있어, 공기 중 곰팡이의 종 다양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울리히 푀슐 박사 연구팀은 유럽 도시와 숲 지역에서 3000㎥(세제곱미터)의 공기 시료를 채집하고 거기에 담긴 곰팡이 포자들의 양과 종을 분석하는 연구를 1년여 동안 벌였다. 곰팡이의 종을 식별하기 위해 디엔에이 분석을 했더니, 채집된 시료에선 수백 종의 곰팡이들이 검출됐으며 공기 1㎥엔 1천~1만개 곰팡이 포자가 들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보도자료에서 “공기 중 곰팡이들이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고 다양했다”며 “사람은 날마다 1만~2만ℓ의 공기를 들이마시는데 숨 쉴 때마다 1~10개 곰팡이 포자를 마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가 눈길을 끄는 이유는 공기 중 곰팡이 포자들이 건강은 물론이고 도시·농촌 환경과 생태계, 기후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기 중의 곰팡이·박테리아 등 생물입자들이 물방울과 얼음결정을 응집하는 구름 씨앗 구실을 한다는 사실은 최근 여러 연구들에서 밝혀져 왔다. 연구팀은 “공기 중 곰팡이 입자들에 관한 연구는 기후, 생태학, 의학, 수의학, 환경위생학, 농업 등 여러 분야와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