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제때 잘 먹인 이유식, 비만·알레르기 예방

등록 2009-12-14 20:27수정 2009-12-14 20:32

제때 잘 먹인 이유식, 비만·알레르기 예방
제때 잘 먹인 이유식, 비만·알레르기 예방
[건강2.0] 우리 아이 이유식 제대로 알기
두돌까진 소금없는 식단 좋아
“밥은 돌 지나 국과 따로 먹이길”




‘돌이 지났으니, 달걀을 먹여도 상관없지 않을까? 아이들에게 밀가루 음식을 먹이면 절대 안 되는 걸까?’

초보엄마 이주영(24)씨는 아들 대현(15개월)이의 이유식을 만들 때마다 늘 고민이다. 이유식 책이나 포털, 이씨가 주로 활동하는 인터넷 커뮤니티를 뒤져봐도 속 시원히 궁금증을 해결할 수 없어 더욱 그렇다. 이유식 정보는 넘쳐나지만, 권장사항이 각각 다르고 엄마들의 경험담 역시 의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카더라’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영아기 이유식은 부족한 영양소를 공급할 뿐 아니라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렇지만 대한소아과학회 영양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논문을 보면, 고기·음료수를 먹이는 시기, 된장국과 김 등 염분 높은 식품을 먹이는 시기 등에 대해서는 많은 엄마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대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 서정완 교수는 “출생 후 첫 1~2년은 성장 발달이 빠르고, 평생 건강을 좌우하는 면역력과 알레르기, 식습관 등이 정해지는 시기”라며 “이유식을 적절한 시기에 잘 먹이면 편식, 비만,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유식 시작은 생후 4~6개월 때

아이들에게 필요한 영양소는 모유나 분유만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6개월 이후부터는 철분이 부족해진다.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양혜란 교수는 “이유식은 생후 17~26주 사이에 시작하되, 아토피가 있거나 모유수유아는 6개월 때부터 하는 것이 좋다”며 “너무 일찍 시작하면 알레르기, 비만 발병률이 높아지는 반면 너무 늦게 시작하면 성장 부진과 영양 결핍 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유식은 쌀미음 등 단일식품으로 시작해 점차 채소와 과일, 고기와 생선 등을 첨가해 가는 것이 원칙이다. 이유식은 수유 중간 일정한 시간에, 점차 횟수를 늘려나가되, 6~8개월부터 아이가 스스로 숟가락을 사용해 먹는 습관을 들인다. 이유식을 너무 묽게 해주는 것도 안 좋은 방법이다. 7개월 이전부터 덩어리가 있으며, 재료의 질감이 살아 있는 이유식을 먹여야 한다. 하정훈소아과 하정훈 원장은 “철분과 단백질 공급을 위해 만 6개월쯤부터 쇠고기를 거의 매일 섞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생선은 돌 이후에 먹이는 것이 좋다. 달걀도 노른자는 6개월 때부터 먹여도 되지만, 흰자는 가급적 돌 이후로 미룬다. 알레르기 가능성이 있는 호두·잣 등 견과류, 조개, 새우, 딸기, 토마토 등도 돌 이후에 먹이도록 한다.


12개월 이전엔 두유·선식 피해야

우리 아이 이유식 제대로 알기
우리 아이 이유식 제대로 알기

이유식을 하더라도, 이때 아이들의 주식은 모유와 분유다. 엄마들 중에는 두유와 선식을 모유와 분유 대용으로 먹이는가 하면 분유에 섞여 먹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두유가 우유보다 더 좋다는 근거는 없다. 양혜란 교수는 “오히려 두유의 대두 성분인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할 뿐 아니라 두유에 첨가된 당 성분이 소아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며 “12개월 이전에는 두유를 먹이지 않는 것이 좋으며, 특히 선식은 금기”라고 조언했다.

모유는 가능하면 두 돌까지, 분유도 돌까지 먹인다. 젖병은 아무리 늦어도 15~18개월까지 완전히 끊어야 한다. 돌 이전부터 컵으로 마시는 습관을 들이면 한결 수월하다. 생우유는 12개월 이후부터 먹여도 무방하지만, 저지방우유는 3세까지 가급적 피한다. 생후 8~9개월 무렵부터는 치즈, 달지 않은 플레인 요구르트를 먹여도 된다. 아이들의 부족한 수분은 물로 보충하는 것이 원칙이다. 과일주스나 이온음료 대신 과일을 직접 갈아 먹일 것을 권장한다.

엄마들 사이에서 돌이 안 된 아이에게 밀가루 음식을 먹이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하정훈 원장은 “4~7개월 사이에 밀가루가 든 음식을 시작해야 알레르기가 적게 생긴다”며 “아기용 과자도 8개월 이전에 먹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제때 잘 먹인 이유식, 비만·알레르기 예방
제때 잘 먹인 이유식, 비만·알레르기 예방

밥을 국에 말아서 주는 건 금물

어릴 때 맛 선호도는 성인기까지 지속된다. 달고, 짜고, 기름진 맛은 누구나 유전적으로 선호하는 맛이지만, 영아기 때부터 이런 맛에 길들여지면 건강을 해치기 쉽다. 가능하면 두 돌까지 간을 아예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설탕, 조미료 등의 첨가도 금기다. 영양분을 고려해 멸치·새우·다시마 우린 물로 이유식을 만드는 엄마들이 종종 있는데, 이 역시 적절치 않다. 밥을 너무 일찍 주거나, 된장국·사골국·미역국 등에 밥을 말아주는 것도 좋지 않은 방법이다. 양혜란 교수는 “영아기 때 다양한 맛과 감각을 받아들여야 편식을 줄일 수 있다”며 “밥은 돌이 지난 이후에, 국과 따로 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글 김미영 기자 kimmy@hani.co.kr

사진 김봉규 기자, 강재훈 선임기자 bong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