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도쿄돔에서 벌어진 일본 프로야구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한.일 통산 400호 홈런을 달성한 이승엽(요미우리 자이언츠)은 전 세계 현역 야구선수 중 타수 당 홈런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1995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에서 4천211타수를 기록했던 이승엽은 일본에서 2시즌 반 동안 쌓은 1천100타수를 합쳐 5천311타수 만에 400홈런을 기록, 평균 13.3타수에 하나씩 홈런을 날린 셈이다.
타수란 타자가 타석에 나서 볼넷이나 몸 맞은 공이 아닌 방망이를 휘두른 결과를 집계하는 것으로 홈런 빈도를 가장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승엽의 이 같은 수치는 현재 미국과 일본을 통틀어 활약하고 있는 프로선수들 가운데서는 최고로 잦은 빈도라고 할 수 있다.
이승엽과 마찬가지로 19세에 프로에 입문해 12시즌 만에 400홈런을 달성한 메이저리그 알렉스 로드리게스(31.뉴욕 양키스)도 이승엽의 홈런 빈도를 따라가지 못한다.
로드리게스는 2005년 6월 9일 밀워키 브루어스전에서 400호를 터뜨렸는데 그 때가 5천803타수였다. 14.5타수마다 홈런을 날린 꼴이다.
마찬가지로 빅리그에서 역대 최다홈런에 도전중인 배리 본즈(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마크 맥과이어(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도 이승엽의 페이스에는 못 미쳤다.
본즈는 400호 홈런을 날리기 1년 전 시즌인 1997년까지 이미 6천99타수를 기록했고 맥과이어도 1999년 400 고지를 밟기 한 해 전까지 5천671타수를 쌓았다.
하지만 이승엽의 홈런 빈도는 일본의 전설적인 홈런왕 오사다하루(王貞治)의 전성기 페이스에는 못 미치고 있다. 오사다하루는 1969년 마지막 경기에서 400홈런을 쌓았다. 그 경기까지 총 4천606타수로 무려 11.5타수마다 아치를 그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승엽이 현재 페이스로 홈런을 날린다면 나이로 인한 체력저하와 부상 등을 감안하더라도 700홈런 고지는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공을 뛰어넘어 수치상으로 오사다하루의 통산 868홈런은 어려워 보이지만 메이저리그 행크 아론(755홈런/1만2천364타수.평균 16.4타수)과 베이브 루스(714홈런/8천398타수.평균 11.8타수)의 기록에는 도전해 볼만 하다. 장재은 기자 jangj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하지만 이승엽의 홈런 빈도는 일본의 전설적인 홈런왕 오사다하루(王貞治)의 전성기 페이스에는 못 미치고 있다. 오사다하루는 1969년 마지막 경기에서 400홈런을 쌓았다. 그 경기까지 총 4천606타수로 무려 11.5타수마다 아치를 그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승엽이 현재 페이스로 홈런을 날린다면 나이로 인한 체력저하와 부상 등을 감안하더라도 700홈런 고지는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공을 뛰어넘어 수치상으로 오사다하루의 통산 868홈런은 어려워 보이지만 메이저리그 행크 아론(755홈런/1만2천364타수.평균 16.4타수)과 베이브 루스(714홈런/8천398타수.평균 11.8타수)의 기록에는 도전해 볼만 하다. 장재은 기자 jangj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