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축구협회(KFA)가 28일 저녁 돌연 징계 축구인 100명에 대한 사면 조치를 의결했다. 사면 대상은 각종 비위 행위로 징계를 받은 전·현직 선수, 지도자, 심판, 단체 임원 등이다. 징계가 해제되면 이들은 다시 축구계에 복귀할 수 있다. 프로축구계를 뒤흔들었던 2011년 승부조작 사건 제명자 48명도 포함됐다. A매치(우루과이전) 2시간 전 기습적으로 사면을 발표하며 “날치기 사면” 비판까지 안았지만, 정작 사면이 실제로 이뤄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먼저 상급단체인 대한체육회는 축구협회 결정을 인정할 생각이 없다. 축구협회는 이번 사면 결정에 대해 대한체육회에 유권 해석을 요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한체육회 규정상 축구협회가 징계 축구인을 사면할 권한이 없다는 입장이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한겨레>와 통화에서 “관련 규정이 없기 때문에, 유권 해석 요청이 온다면 다시 반송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축구협회가) 아무 실효성 없는 조처를 한 것”이라고 했다.
K리그를 운영하는 한국프로축구연맹 또한 대한축구협회 결정을 따를 계획이 없다. 한국프로축구연맹 관계자는 <한겨레>와 통화에서 “저희가 내린 징계에 대해서는 사면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라며 “혹자는 (협회가 상급기관이기에) 사면을 포괄적으로 해석해서 프로축구에 복귀할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저희는 그렇게 볼 수 없다”고 했다.
대한체육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 양쪽이 모두 이번 사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밝히면서, “지난해 달성한 월드컵 10회 연속 진출과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을 자축하고, 축구계의 화합과 새 출발을 위해 사면을 건의한 일선 현장의 의견을 반영했다”는 이번 축구협회의 사면 계획은 분노한 팬심만 남긴 채 해프닝으로 끝날 가능성이 커졌다.
이준희 박강수 기자
givenhapp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