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훈이 25일 저녁 전북 무주에서 열린 2017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남자 54㎏에서 금메달을 딴 뒤 태극기를 들고 경기장을 돌고 있다. 세계태권도연맹(WTF) 제공
시상대에서 하루 두 차례 태극기가 올라가고 애국가가 연주됐다. 태권도 경량급 간판스타 김태훈(23·수원시청)은 세계선수권대회 3회 연속 우승의 쾌거 달성에 감격스러워했고, 심재영(22·한국체대)은 첫 금메달의 감격에 울먹였다.
25일 저녁 전북 무주군 설천면 태권도원의 T1경기장에서 열린 2017 세계태권도연맹(WTF)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54㎏ 결승. 김태훈은 이란의 아르민 하디푸르 세이갈라니(이란)를 10-6으로 꺾고 정상에 올랐다. 앞서 그는 2013년 멕시코 푸에블라, 2015년 러시아 첼랴빈스크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바 있다.
1973년 시작돼 2년마다 열려 이번에 23회째를 맞은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미국의 스티븐 로페스가 사상 처음 5연패(2001, 2003, 2005, 2007, 2009년)의 위업을 달성한 바 있다. 한국에서는 정국현(현 WTF 집행위원)이 현역 시절 4연패(1982, 1983, 1985, 1987년)를 달성했다.
김태훈이 결승전에서 이란의 아르민 하디푸르 세이갈라니와 겨루고 있다.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김태훈은 2013년 국가대표로 발탁된 뒤 자신의 체급에서 세계선수권, 아시안게임,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연이어 우승했다. 이어 2016 리우올림픽에서는 자신의 체급이 없어 남자 58㎏급으로 올려 출전했으나 아쉽게 동메달에 만족해 그랜드슬램 달성에 실패했다. 이날 4강에서는 비토 델라퀼라(이탈리아)에게 16-0으로 앞선 상황에서 3라운드 30초 만에 반칙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했다.
여자 46㎏급에서 우승한 심재영이 태극기를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세계태권도연맹 제공
앞서 열린 여자 46㎏급 결승에서는 심재영이 베트남의 쯔엉티낌뚜옌을 18-9로 누르고 이번 대회 첫 금메달의 주인공이 됐다. 심재영은 처음 출전한 2015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16강에서 일찌감치 탈락했으나 두번째 도전에서 꿈을 이뤘다. 전날 아르나굴 사비르(타자흐스탄)와 32강전에서 16-2로 이겼고, 16강전에서는 쉬나이윈(대만)을 6-4, 파디아 파르하니(터키)를 15-5로 차례로 꺾는 등 승승장구했다.
한편 금메달을 기대한 김소희(한국가스공사)는 이날 낮 열린 여자 49㎏급 8강전에서 원런윈타오(중국)와 6-6으로 비긴 뒤 연장전에서 6-8로 져 탈락했다. 2011년 경주, 2013년 푸에블라 세계선수권대회 여자 46㎏급에서 2연패를 달성한 김소희는 3회 우승 꿈을 접었다. 그는 리우올림픽에서는 여자 49㎏급에서 금메달을 따낸 바 있다. 남자 74㎏급에 출전한 김훈(삼성 에스원)도 막심 흐람초프(러시아)에게 5-27로 져 8강에서 탈락했다. 무주/김경무 선임기자
kkm100@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