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금 기자의 무회전 킥]
‘전 정권서 배제’ 노태강 차관됐지만
김종 전 차관이 바꾼 스포츠개발원
K스포츠 밀려 축소 인재육성재단
빠른 정상화와 적폐 청산 이뤄져야
‘전 정권서 배제’ 노태강 차관됐지만
김종 전 차관이 바꾼 스포츠개발원
K스포츠 밀려 축소 인재육성재단
빠른 정상화와 적폐 청산 이뤄져야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의 ‘복권’은 상징적이다. 부정의 피해자가 영원한 패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고, 옛 정권의 잘못을 바로잡겠다는 뜻을 알렸다. 일부에서는 사필귀정이라고 했고, 좋은 세상이 왔다고 말한 이도 있다. 그러나 한 개인의 복권으로 체육계 적폐가 해소된 것은 아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과도기가 지났다. 어느 정도 업무 파악이 됐다면 시급한 일부터 정상화해야 한다.
한국스포츠개발원의 연구 기능과 명칭 회복은 시급하다. 1980년 출범한 스포츠개발원의 원래 명칭은 한국체육과학연구원이다. 정책 개발과 엘리트선수 기량 향상을 위한 연구가 주 사업이었고, 국가대표 지도자 교육이나 연수업무를 해왔다. 일본의 체육과학연구원은 한국의 국가대표 지도자 양성이나 현장지원 제도를 그대로 본떴을 정도다.
하지만 김종 전 차관이 스포츠산업 기능을 대폭 강화시키면서 연구원 본래의 기능이 변질됐다. 스포츠를 개발한다는 명칭의 뜻은 명확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수십명의 연구인력 등을 둬 비대해진 스포츠산업지원센터가 특별한 결과물을 낸 것도 아니다. 기업이나 개인의 아이디어를 공모하거나 제안을 받아, 예산을 배정하는 행정적인 일이 많다 보니 ‘물 먹는 하마’ ‘중간 정산소’라는 비판이 나온다. 지도자 양성 부문은 이관됐다.
스포츠개발원에는 대표팀 전력 향상을 위해 연구와 현장을 결합해온 전통이 여전히 살아 있다. 이들은 2018 평창겨울올림픽이 7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마음이 급해졌다. 전임 정부에서 임명된 원장이 버티면서 내부의 생산적인 논의가 출구를 못 찾는 것도 문제다. 재정비를 기대한 연구원들의 의욕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스포츠개발원 산하의 체육인재육성재단 복원 문제도 고민해볼 대상이다. 체육인재육성재단은 최순실 게이트의 시작이었던 케이(K)스포츠재단 설립이 추진되면서 독립법인의 위상을 박탈당하고 개발원의 일개 부서로 편입됐다. 체육인들의 은퇴 후 진로 설계나 교육, 연수 등의 사업이 케이스포츠재단의 이권이 될 사업과 중복돼 박근혜 전 정권이 미리 축소시켰다는 의혹이 나왔다.
문화예술인들은 3일 대학로에 모여 블랙리스트 진상 규명과 공모자의 고백 등을 촉구하는 토론회를 마련했다. 이들의 태도는 매우 근본적이고 완강해 구조마저 뜯어고칠 태세다. 하지만 체육계에서는 권력에 굽신거리고 지원을 받는 데만 익숙해서인지 집단적인 움직임이 없다. 체육학회 등도 오래전부터 비판하는 문화가 실종돼 뼈아픈 자기반성이나 적폐 해소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지 못한다. 그러다 보니 책임져야 할 사람조차 납작 엎드려 있으면 적당히 넘어갈 거라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있다. 노태강 차관을 복권한 새 시대의 바람과는 거리가 있는 모습이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