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리 무트코 러시아 부총리 겸 월드컵조직위원장이 1일(현지시각) 열린 2018 러시아월드컵 조 추첨식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모스크바/EPA 연합뉴스
러시아 도핑 파문의 최고 책임자인 비탈리 무트코(59) 러시아 체육 담당 부총리가 도마 위에 올랐다. 무트코 부총리는 2014 소치올림픽 당시 러시아 선수의 도핑 회피를 주도했지만, 2018 러시아월드컵 조직위원장을 맡는 등 승승장구 하고 있다.
영국의 <가디언>은 6일(한국시각) 국제올림픽조직위원회(IOC)나 국제축구연맹(FIFA)이 무트코 부총리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이오시는 일단 무트코 부총리에 대해 앞으로 열리는 모든 올림픽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도록 금족령을 내렸다. 또 러시아 올림픽위원회에 1500만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그러나 가디언은 이 정도의 징계는 러시아 도핑의 엄중함에 비해 가볍다고 비판했다.
국제축구연맹 또한 무트코 부총리에 대해서는 관대하다. 잔니 인판티노 회장이 이끄는 피파는 “이 문제가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우리는 월드컵 개최를 위해 계속 일할 것”이라며 무트코 러시아 월드컵조직위원장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2008~2016년 러시아 체육장관을 역임한 무트코는 2014 소치올림픽 당시 러시아 선수들의 도핑을 실질적으로 주도한 인물이다. 러시아 반도핑센터의 소장이었고 내부 고발자로 러시아 도핑을 알린 그리고리 로드첸코프 박사는 아이오시 조사에서 “무트코 장관과 수십 차례 만났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로드첸코프 박사는 현재 미국으로 망명해 도피 중인데, 측근에 따르면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무트코 조직위원장은 1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월드컵 조 추첨식에서 이례적으로 10분간의 연설을 통해 “영국에서도 축구나 다른 종목에서 도핑이 이뤄졌다는 보고가 있는데, 그런 문제에 대해서는 조사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았다. 러시아가 차별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