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기독교사회책임 주관으로 종교인 세금납부 문제에 대해 열린 세미나 사진 <한겨레> 자료
국민의 3분2 가량이 성직자에게 세금을 부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은 6일 지난달 27일 19세 이상 전국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4.9%가 성직자에게 세금을 부과하자는 주장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직자 세금 부과에 대해 응답자의 47.3%는 ‘전적으로 찬성’했고, 17.6%는 ‘대체로 찬성’했고, 반대는 9.5%였다.
종교별로는 천주교 신자의 71.4%가 찬성했고, 불교(69.8%)와 기독교(60.4%)가 뒤를 이었다.
현재 천주교 사제는 1994년 주교회의의 결정에 따라 소득세를 내고 있으며, 개신교는 최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등을 중심으로 목사의 세금 납부 문제를 공론화하고 있다. 불교 조계종은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스님 등 일부만 소득세를 내고 있다.
또 헌법 20조에 명시된 ‘정치와 종교의 분리 원칙’에 대해선 67.2%가 찬성한 반면 반대는 12.9%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은 종교인들의 정치 참여에 대해 67.1%가 반대했으며, 찬성은 20.2%였다.
정치인들이 종교중립적으로 활동하는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46.2%로 ‘그렇다’는 의견 38.7%보다 다소 많았다.
종교 행사에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30.9%가 바람직하다고 했지만 52.9%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했다.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은 지난 6일 오후 만해엔지오교육센터에서 열리는 ‘2012 만해축전 심포지엄’인 ‘정치와 종교, 뗄 수 없는가’에서 이를 발표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