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조현이만난사람

“명상때 생각과 감정 따르지 말고 그냥 둬라”

등록 2011-05-26 13:42

  티베트 영적 지도자 린포체 내한

마하무드라 워크숍 열어 ‘집중명상’ 사마타 소개 성불·환생 독특한 견해도  

▲촉니 린포체

불교계에서 남방불교인 위파사나 수행에 이어 티베트불교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 2월 <티베트의 즐거운 지혜>의 저자인 욘게이 밍규르 린포체가 내한한데 이어 이번엔 그의 형인 둡왕 촉니 린포체(47)가 방한했다. 지난 24일 서울 견지동 조계종 총무원청사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촉니 린포체의 마하무드라 워크숍엔 3만원의 입장료를 받았지만 3백여명이 입추의 여지 없이 들어차 티베트불교에 대한 ‘숨은 열기’를 반영했다. 마하무드라란 ‘마음의 본성’ 또는 우주와 합일을 뜻한다.

네팔에서 태어난 촉니린포체는 티베트 최고의 성자인 밀라레파의 제자인 레충파의 화신으로 티베트불교 전통에서  인정받아 세계적으로 티베트 수행을 지도하는 영적 지도자다. 

촉니 린포체가 전하는 명상 비법은 그 무엇보다 쉬웠다. 그는 ‘사마타(집중명상)의 경지’에 대해 “생각이나 감정이 없는 게 아니다”면서 생각이나 감정이 일어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라는 것부터 강조했다.

“생각이나 감정이 오는 것은 문제가 없다. 따라가지만 않으면 된다. 생각과 감정은 내 마음으로 들어올 권리가 있다. 내 마음은 생각과 감정을 따라가지 않을 권리가 있다. 생각과 감정을 오게 두고, 또 가게 놔두라. 따라다니지만 마라. 이게 사마타 수행의 전부다”

그는 “우리 마음에 생각과 감정이 들어오지못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그러나 따라다니지않는 것은 가능하다”고 말했다.

“아주 추악한 손님(생각과 감정)이 오더라도 막지 말고, 복근이 멋진 손님이 오더라도 붙잡지 말라. (내 마음 속에) 저장 버튼을 누르지마라. 움켜잡는 순간 번뇌와 고통이 생기는 것이다.”

그는 “수학문제를 풀 때도, 과제를 해결할 때도 처음엔 좀 어렵다”면서 “하지만 초보운전자는 대화조차 방해가 되지만 운전에 능숙해지면 옆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운전을 할 수 있듯이 명상도 능숙해지면 일상사에서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명상과 삶의 일치’에 대해 “부부 싸움을 하면서 남편이 잠시 명상을 하고 나서 하겠다고 선언하면 부인은 이미 방을 나가버리거나 물건을 던지거나 미쳐 돌아가는 지경이 될 지 모른다”면서 “명상은 막대기처럼 하는 게 아니다”고 덧붙였다.

  촉니 린포체는 마하무드라에 대해서도 명쾌하게 제시했다. 그는 ‘마음의 본성’이 지닌 특성에 대해 △공성(비어있음) △명료함(맑음) △앎 등 세가지이며, “이들이 통합된 것이 깨달음”이라고 밝혔다. 그는 깨달음이 아무 것도 없는 멍한 상태로 가는 것이 아니라 앎이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와함께 “깨달았다는 것은 아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깨달은 것인지, 깨닫지 못한 것인지 모른다면 못 깨달은 게 분명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촉니 린포체는 공성에 대해 “생각을 다 놓은 곳에 공성이 있다. 개념을 잡으려하지말고 그냥 거기에 있으면 된다”며 “손을 올리면서 어느 순간 만지는 것이나 더 높은 곳에서 만지는 것이나 공간은 공성이어서 다 같다”고 말했다. 그는 “공성(비어있음)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있는데 다만 모르고 있을 뿐이다. 움켜쥔 손을 ‘툭’ 떨어뜨리면서 ‘휴’하는 순간 공성을 깨달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깨달음을 얻으면 “자아로부터 자유롭고 초월돼 이분법적인 집착이 없고, 화와 분노가 없으며, 질투와 자만이없고, 시간이 없는 상태에 들어가며, 생과 사가 없고, 꾸밈이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공성(비어있음)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있는데 다만 모르고 있을 뿐이다. 움켜쥔 손을 ‘툭’ 떨어뜨리면서 ‘휴’하는 순간 공성을 깨달을 수 있다”

그는 “그러나 공성에 대한 깨달음은 성불(부처가 됨)로 가는 고속도로에 들어선 것이지만, 그 자체가 성불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견성(깨달음) 즉 성불’이라는 선불교와는 다른 논리인 셈이다.

그는 대승불교와 티베트불교의 차이에 대해 “다른 수행은 다른 결과를 낳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촉니 린포체는 ‘사랑, 자비, 자유’와 깨달음과 상관 관계에 대해 “사랑, 자비, 자유는 공성의 자연스런 성질이고 공성 본연의 성품”이라면서 “깨닫지 못한 상태에서 자비는 진짜가 아닌 짝퉁과 다름 없는 것이지만 진짜로 가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티베트불교의 환생에 대해서도 독특한 견해를 펼쳤다. 그는 “성불하면 윤회는 그치게 되지만 서원에 의해 다시 ‘부처의 화신’으로 돌아온다”면서 “환생할 때마다 이름이나 모습이 달라지고, 어떤 때는 불교도가 아닌 사람으로 태어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촉니린포체는 25일 한국을 떠났으며, 역시 티베트불교의 영적지도자인 캄툴린포체가 오는 26일 춘천 봉덕사에 관세음보살 관정의식을 이끈데 이어 28~29일 경기도 양평 미소사, 6월2일 오후 3시 서울 동국대 중강당에서 각각 관정의식 및 법문을 펼친다.

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1.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2.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3.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4.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5.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