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좋은글

뒤늦은 깨달음, 가장 빠른 깨달음

등록 2011-05-31 10:46

새삼 내 모습을 돌아보다…나는 지금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는가

중국 명말의 문인인 미공 진계유(陳繼儒)의 연후(然後)라는 시입니다. 무엇이든 지나침은 모자람만 못하다고 했습니다. `오버의 시대", `과한 시대"에 늘 읽고 새겨둘만한 글입니다.

然後(연후)

靜坐然後知 平日之氣浮 (정좌 연후지 평일지기정) 고요히 앉아 본 뒤에야 평상시의 마음이 경박했음을 알았

守默 然後知 平日之言燥 (수묵 연후지 평일지언조) 침묵을 지킨 뒤에야 지난날의 언어가 소란스러웠음을 알았네

省事 然後知 平日之費閒 (성사 연후지 평일지비간) 일을 돌아본 뒤에야 시간을 무의미하게 보냈음을 알았네

閉戶 然後知 平日之交濫 (폐호 연후지 평일지교남) 문을 닫아건 뒤에야 앞서의 사귐이 지나쳤음을 알았네

寡慾 然後知 平日之病多 (과욕 연후지 평일지병다) 욕심을 줄인 뒤에야 이전의 잘못이 많았음을 알았네

近情 然後知 平日之念刻 (근정 연후지 평일지념각) 마음을 쏟은 뒤에야 평소에 마음씀이 각박했음을 알았네

진계유는 장쑤성[江蘇省] 화팅[華亭] 출생이다.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났는데, 커서 동기창(董其昌)과 함께 명성을 떨쳐 《금병매》를 지은 왕세정(王世貞)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그러나 29세 때 유자(儒者)의 의관을 태워 버리고 관도(官途)의 뜻을 포기한 뒤, 쿤산[崑山] 남쪽에서 은거하였다. 동림서원(東林書院)의 고헌성(顧憲成)으로부터 초청을 받았으나 응하지 않고, 82세로 생애를 마칠 때까지 풍류와 자유로운 문필생활로 일생을 보냈다. 그의 박식을 드러낸 저서에 《보안당비급(寶顔堂秘笈)》 《미공전집(眉公全集)》이 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1.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2.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3.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4.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5.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