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좋은글

대자유를 만끽하는 법

등록 2011-06-03 19:20

나옹 화상의 백납가   不求利 不求名 이익도 구하지 않고 이름도 구하지 않으니

百衲懷空豈有情 누더기 납승, 가슴 비었거니 무슨 생각 있으랴.

一鉢生涯隨處足 바룻대 하나로 어디 가나 족하니

只將一味過殘生 그저 이 한 맛으로 남은 생을 보내리.

고려(高麗) 31대 공민왕(恭愍王) 때의 왕사(王師). 초명은 원례(元惠). 속성은 아(牙). 호는 나옹ㆍ강월헌(江月軒). 영해(寧海) 사람. 중국(中國) 서천(西天)의 지공(指空)을 따라 심법(心法)의 정맥(正脈)을 이어받았음. 고려(高麗) 말(末) 선종(禪宗)의 고승(高僧)으로서 조선(朝鮮) 시대(時代) 불교(佛敎)에 크게 영향(影響)을 끼침. 서예와 그림에도 뛰어났으며, 지공(指空)ㆍ무학(無學)과 함께 삼대 화상(三大和尙)이라 일컬어짐. 시호(諡號)는 선각(禪覺). 혜근(惠勤). (1320~1376)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1.

두번째 화살을 맞지않으려면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2.

홀로된 자로서 담대하게 서라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3.

착한 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4.

천도재도, 대입합격기도도 없는 사자암의 향봉스님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5.

고통이 바로 성장의 동력이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