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이명박 정부의 지역정책인 ‘5+2 광역경제권 발전전략’을 거부하고 나섰다. 광주시는 10일 5+2 광역경제권 활성화을 위해 추진할 신재생에너지·광소재 등 신성장 선도산업의 사업계획서를 지식경제부에 제출하지 않았다. 이날은 정부가 이달 안에 권역별 신성장 선도산업을 확정하려고 광역자치단체에 사업계...
광주시 공기업 3곳이 해마다 5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한나라당 이은재 의원이 8일 국감에 앞서 전국 지방공사·공단의 경영을 분석한 결과, 2005~2007년 3년 동안 광주시도시철도공사,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시환경관리공단 등 광주지역 공기업 3곳의 순손실액이 1496억원을 기록했다. 공기업별로는 도시...
광주공항 주변지역의 항공기 소음이 심각한 수준이다. 광주 서구청은 7일 “서일대학 산학협력단에 용역을 맡겨 광주공항 주변 10곳의 소음을 측정한 결과, 7곳이 생활에 지장을 받는 80웨클(WECPNL·국제 항공기 소음도 측정단위)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80웨클 이상은 소음으로 직접적인 생활 불편이 ...
전남지역 시·군들이 인구를 늘리려고 지원하는 출산장려금이 줄줄 새고 있다. 전남도는 6일 “출산장려금과 양육지원비를 노린 얌체족들의 연고지 위장전입이 늘고 있다”며 “이 때문에 줄잡아 한해 수십억원의 예산이 새나가고 있으나 허술한 지급 규정과 단속 인력 부족으로 손을 쓰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
누리문화재단(이사장 조상권)은 오는 7일 오후 3시 광주시 북구 유동 광주와이엠시에이 소강당에서 향토문화아카데미를 연다. 11월25일까지 남도문화의 원형질을 탐색하는 8차례 강좌와 2차례 답사를 진행한다. 강사진은 조현종 국립광주박물관장, 강현구 광주시 문화재위원, 시인 김준태, 화가 한희원, 박강의 놀이패...
일선학교에 보급된 전자칠판들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채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1일 “2001년부터 5억5000여만원을 들여 광주지역 초·중·고 148곳에 전자칠판 223대를 보급했다”며 “활용실태를 조사해보니 보급학교 중 37.9%인 56곳이 거의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학교별 조...
광주지역에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탄 채 이용할 수 있는 ‘행복 콜택시’가 운행된다. 광주시는 1일부터 교통약자 전용택시인 ‘행복 콜택시’ 8대를 연중 무휴로 하루 24시간 밤낮없이 운영한다. 이 택시는 7인승 승합차를 개조해 휠체어 승강장비와 고정설비 등을 갖추고 있다. 이 택시는 △1·2급 중증 장애인 △3급 지적...
광주지역 초·중·고교들이 도서구입비를 쓰는 데 지나치게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교육위 장휘국 위원은 29일 광주시교육청의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지역 초·중·고교의 2007~2008년 도서구입비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학교들이 기준보다 턱없이 낮은 도서구입비를 쓰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광...
아리랑국제평화재단(이사장 조비오)은 26일 오후 4시 광주시 서구 화정1동 이 재단 3층 강당에서 ‘북-미 관계 변화와 향후 동북아 정세’라는 주제로 평화포럼을 연다.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가 북한 영변의 원자로 냉각탑 폭파 뒤 빚어진 북-미 마찰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 대립이 앞으로 북핵 6자 회담과 동북아...
최근 대형 유통업체들이 자체개발 브랜드(피비·Private Brand)를 앞다퉈 판매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신뢰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와이더블유시에이는 24일 “지난달 중순 광주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유통업체에서 판매하는 자체개발 브랜드 제품의 소비성향을 조사한 결과, 선호도와 신뢰도가 비교적 낮았다”고 ...
과거 육성회비 성격의 학교운영비가 중학생들의 학교계좌에서 자동이체로 빠져나가자 ‘강제 징수’를 중단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23일 “9월 들어 대부분 중학교가 학생들의 스쿨뱅킹 계좌에서 자동이체(시엠에스)하는 방식으로 학교운영비를 징수하고 있다”며 “이는 불법 징수인 만큼 광주...
광주시가 예산조달·유치효과·시설확충 등 각론을 빠뜨린 채 유니버시아드 재도전을 선언해 ‘일방통행’이라는 비판을 사고 있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22일 기자회견을 열어 “유니버시아드를 유치해 광주를 국제도시로 만들자는 광주시의회의 결의안, 단체 27곳의 성명, 지도층 100여명의 기고 등이 잇따랐다”며 “이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