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는 신경세포가 몸 전체에 퍼져 있으며, 피부색을 바꾼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도구를 사용하는 게 확인되기도 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문어가 외계에서 왔다고?
문어의 조상이 외계의 유기물에서 비롯됐다는 가설이 전 세계 과학자 33명에 의해 제기됐다. 학술지 ‘생물물리학과 분자생물학의 진보’ 최근호에 실린 이 논문은 출판 자체가 뉴스거리가 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시와이 오코너 빌리지의 에드워드 스틸 박사 등은 이 학술지에서 문어의 조상이 되는 생명체의 알이 냉동된 채 혜성을 타고 지구에 도착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5억4천만년 전, 지구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단순한 유기체만 존재하던 지구에 다양한 동물이 출현한 것이다. 다양한 동물 화석이 갑작스럽게 출현한 이 지질학적 사건을 ‘캄브리아기 대폭발'이라고 부른다. 그동안 과학계에서는 캄브리아기 대폭발의 원인에 대해서 탐구해왔고, 이번 논문을 쓴 일군의 과학자들은 수수께끼를 풀 열쇠가 지구 밖에 있다고 가리킨 것이다.
이들은 논문에서 “선캄브리아기의 대량멸종이 생명을 태운 혜성의 영향 때문이라고 간주하는 건 많은 상상이 필요하지 않다. 그 뒤 지구에 씨앗(세포를 지닌 유기체나 바이러스 유전자)이 퍼지면서” 캄브리아기 생물 종의 대폭발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사실 이들의 주장은 새롭지 않다. 일찍이 디엔에이(DNA) 분자 구조를 발견한 프랜시스 크릭도 지구 생명의 기원이 외계에서 왔다고 주장했다. 이를 ‘판스퍼미아’(panspermia) 혹은 ‘범종설'(汎種說)이라고 한다. 우주에서 떠돌던 미생물을 씨앗으로 삼아 지구의 생명이 탄생했다는 것이다.
범종설은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등이 혜성이나 운석 등을 타고 우주간 이동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다른 행성으로 이동한 생명체는 그곳에서 진화하여 번성할 수 있다.
외계의 미생물이 지구에 도착하면 생물 종의 복잡성이 높아진다고 논문 저자들은 주장했다.
스틸 박사 등은 구체적인 생물을 들어 범종설을 밀어부쳤다. 이들은 얼음 운석을 타고 지구에 날아온 냉동 배아가 문어를 진화시킨 씨앗이 됐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지구 유전자와 외계 유전자가 섞여 문어와 두족류를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문어는 분명 지구의 다른 생명체에 견줘 ‘이상하게' 생겼다. 큰 머리와 복잡한 신경계, 카메라 같은 눈, 유연한 몸 그리고 색깔과 형태를 바꾸는 위장 능력이 있다. 이들은 문어가 △진화의 역사에서 갑자기 나타났다는 점 △복잡한 특징을 담당하는 돌연변이 유전자가 추적되지 않는 점 등을 들어 외계에서 온 유전자가 개입했을 거라는 논리를 편다.
이들은 논문에서 “수억년 전 문어나 두족류의 냉동 배아가 얼음 운석을 타고 지구에 도착했을 가능성을 무시해선 안 된다”며 “이것이야말로 약 2억7000만년 전 문어의 갑작스러운 출현을 말해주는 우주적인 설명”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문어 외계 기원설'에 대해 과학계는 냉소적이다. 과학 전문 온라인 매체 ‘사이언스 얼러트'는 16일 “한 미친 논문이 과학의 한계를 시험하고 있다'는 노골적인 제목을 달아, 학술지의 논문 게재 자체를 뉴스로 다뤘다.
유럽항공우주국(ESA)에서 화성 연구에 관여하고 있는 우주생물학자 프란시스 웨스톨도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이 논문을 비판했다. 그는 “한 가설에 기반해 기존 문헌을 찾아 특정 주장을 하는 건 쉽다. 하지만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많은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다”며 “자연은 이미 놀랍다. 그걸 꼭 외계를 끌어들여 설명할 필요를 느끼진 못한다”고 말했다.
진화생물학자 제리 코인도 블로그에서 “양식 있는 학술지라면 생물학에 대해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을 부정하는 이런 논문은 게재하지 말아야 한다. 문어의 조상이 다른 행성에서 왔다고 바로 논할 게 아니라 두족류의 복잡한 유전자와 형태학에 기반을 둔 절제된 설명을 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기사가 인용한 논문
Steele, E. J., AlMufti, S., Augustyn, K. A., Chandrajith, R., Coghlan, J. P., Coulson, S. G.& Louis, G. (2018). Cause of Cambrian Explosion-Terrestrial or cosmic?. Progress in biophysics and molecular biology. org/10.1016/j.pbiomolbio.2018.03.004" target="_blank" title="Persistent link using digital object identifier">https://doi.org/10.1016/j.pbiomolbio.2018.03.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