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생태와진화

대양섬 새들은 머리 좋은 쪽으로 진화한다

등록 2018-07-31 23:59수정 2018-08-01 18:20

[애니멀피플]
뉴칼레도니아까마귀 등 본토 친척보다 두뇌 훨씬 커
변화무쌍한 섬 환경 유연한 적응 위해 큰 두뇌 선택받아
뉴질랜드 남섬에 사는 잉꼬의 일종인 케어. 두뇌가 크기로 유명하다. 존 설리반 제공.
뉴질랜드 남섬에 사는 잉꼬의 일종인 케어. 두뇌가 크기로 유명하다. 존 설리반 제공.
이솝우화에 나오는 영리한 까마귀는 목이 긴 물병에 반쯤 담긴 물을 마시기 위해 잔돌을 병 속에 집어넣는다. 그저 꾸며낸 이야기가 아니다. 실제로 뉴칼레도니아까마귀는 수위를 높여 물을 마시는 방법을 안다. 하와이까마귀는 나뭇가지를 도구로 써 나무구멍 속 먹이를 꺼내 먹는다. 갈라파고스딱따구리핀치도 딱따구리의 긴 혀가 없지만 대신 선인장 가시를 도구로 이용해 나무 틈에 박힌 먹이를 사냥한다. 배우지 않은 어린 새도 이런 기술을 터득한 것으로 보아 종 전체의 능력으로 보인다.

위에 든 영리한 새 3종의 공통점은 모두 대양섬에 산다는 사실이다. 먼바다 섬에 살면 동물의 머리가 좋아질까. 그렇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솝우화의 까마귀(왼쪽)과 뉴칼레도니아까마귀.
이솝우화의 까마귀(왼쪽)과 뉴칼레도니아까마귀.
대양섬은 화산폭발로 바다 한가운데서 생긴 섬이다. 육지와 한 번도 연결되지 않고 고립돼 있기 때문에 찰스 다윈 이래 진화를 연구하는 ‘자연 실험실’로 주목받았다. 외부에서 유입된 소수의 생물이 한정되고 변화무쌍한 환경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이다.

진화는 어떤 방향을 정해놓고 그 쪽으로 진행되지 않는다(인간은 진화의 종착점이 아니다). 그러나 섬에서는 일정한 방향성이 보인다. 대양섬에서 척추동물은 자원 상태에 따라 피그미매머드처럼 왜소화하거나 코모도왕도마뱀처럼 거대화한다. 새들은 비행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 새들의 머리가 좋아지는 경향이 새 가설로 추가됐다.

독일 다름슈타트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갈라파고스딱따구리핀치의 모형.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독일 다름슈타트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갈라파고스딱따구리핀치의 모형.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페란 사욜 스페인 진화생물학자 등 국제 연구진은 대양섬 조류 110종을 포함해 1931종 1만1500여 점의 새 표본을 분석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일 치에 실린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대양섬 새들은 본토에 사는 친척 종들보다 두뇌가 현저하게 큰 경향을 보였다”라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그 원인으로 변화가 심한 섬의 환경과 섬 동물의 느린 생활사를 꼽았다. 대양섬은 밖으로 이주해 나갈 여지가 없다. 극심한 가뭄 같은 환경변화가 일어나면 유연하게 적응하는 종만 살아남는다. 연구자들은 환경변화의 역경을 이기기 위해서는 행동의 유연성이 필요했고, 이를 위해 큰 두뇌가 선택받았을 것으로 보았다. 예를 들어 딱따구리핀치는 나뭇잎에 붙어있는 벌레를 먹다가 가뭄으로 벌레가 나무 틈으로 숨어들자 새로운 사냥법이 절실하게 필요했다. 이때 대뇌피질의 면적이 큰, 다시 말해 두뇌의 크기가 큰 핀치일수록 선인장 가시를 도구로 쓰는 정교한 진화를 이룰 가능성이 컸다는 것이다.

뉴질랜드 남섬의 톰티트 암컷. 이 종의 이름은 ‘머리가 크다’는 뜻이다. 존 설리번 제공.
뉴질랜드 남섬의 톰티트 암컷. 이 종의 이름은 ‘머리가 크다’는 뜻이다. 존 설리번 제공.
연구자들은 또 천적이 없거나 적은 대양섬에서의 느린 생활사도 두뇌 확대에 기여했을 것으로 보았다. 수명이 길수록 큰 두뇌 발달에 유리하다. 큰 두뇌는 발달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명이 긴 동물일수록 새로운 행동을 탐구해 개발할 시간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섬에 온 뒤 두뇌가 커졌는지 아니면 두뇌가 큰 새가 섬으로 왔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연구자들은 계통유전학 분석을 통해 섬에 온 종의 조상과 오지 않은 종의 조상 사이에 상대적인 뇌 크기에 차이가 없음을 들어, 섬에 온 뒤 두뇌가 커지는 진화가 일어났다고 밝혔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Ferran Sayol et al, Predictable evolution towards larger brains in birds colonizing oceanic islands, Nature Communications (2018) 9:2820, DOI: 10.1038/s41467-018-05280-8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