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인간과동물

800㎏ 들소 잡아먹는 동남아표범 ‘30마리’ 남았다

등록 2018-03-07 12:07수정 2018-03-07 14:05

[애니멀피플]
멧돼지·사슴 잡으려 놓은 올무로 5년 새 72% 급감
주민에게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등 밀렵 대책 시급
멸종위기에 놓인 표범 아종인 인도차이나표범의 모습. 캄보디아의 마지막 번식집단이 밀렵으로 위험에 빠졌다. 판테라(Panthera) 캄보디아 지부 제공
멸종위기에 놓인 표범 아종인 인도차이나표범의 모습. 캄보디아의 마지막 번식집단이 밀렵으로 위험에 빠졌다. 판테라(Panthera) 캄보디아 지부 제공
표범은 적응력이 뛰어나 도시에서도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기도 한다. 그러나 무차별적인 밀렵을 견딜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표범의 9가지 아종 가운데 동남아에만 사는 인도차이나표범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위기 등급이 ‘위급’인 맹수로 번식 가능한 개체가 약 2000마리에 불과하다. 역사적인 서식지의 95%가 사라졌다.

이들이 살아남은 거점은 2곳으로 말레이반도와 인도차이나 동쪽인 캄보디아·라오스·베트남인데, 동쪽 거점의 표범이 지난 5년 사이 72%나 줄어들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야생동물보전연구소 등은 ‘왕립학회 공개 과학저널’ 최근호에 실린 보고에서 “캄보디아의 마지막 번식집단이 급박한 멸종위험에 놓여 있다”며 시급한 대책을 촉구했다. 연구자들은 야생동물 밀거래와 고기를 노린 무차별적인 올무 살포로 표범의 서식밀도가 100㎢당 1마리꼴로 급락했다고 밝혔다. 이 지역에 남은 표범은 20∼30개체에 불과할 것으로 연구자들은 추정했다.

사슴을 밀렵해 가는 밀렵꾼들. 야생동물 고기를 노린 올무에 표범이 희생되고 있다. 판테라(Panthera) 캄보디아 지부 제공.
사슴을 밀렵해 가는 밀렵꾼들. 야생동물 고기를 노린 올무에 표범이 희생되고 있다. 판테라(Panthera) 캄보디아 지부 제공.
주 저자인 수사나 로스트로-가르시아 야생동물보전연구소 과학자는 “캄보디아와 다른 동남아 국가에 광범한 올무 놓기는 야생동물 고기 수요가 높아진 탓”이라며 “야생 서식지에 시장에 내다 팔 멧돼지와 사슴을 잡으려고 설치한 올무 수천개가 뿌려져 있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인도차이나표범은 표범 가운데 500㎏이 넘는 대형 먹이를 사냥하는 유일한 아종으로 알려져 있다. 수컷 인도차이나표범은 동남아의 야생들소인 ‘반템’을 노리는데, 이들은 종종 표범 몸무게의 5배가 넘는 800㎏에 이른다. 표범이 이처럼 큰 먹이를 사냥하게 된 것은 이 지역에서 2009년 멸종한 호랑이의 생태적 기능을 대신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동남아의 야생 들소인 반템. 호랑이의 주 먹이였으나 호랑이가 사라진 뒤 표범 수컷의 사냥감이 됐다. 판테라(Panthera) 캄보디아 지부 제공
동남아의 야생 들소인 반템. 호랑이의 주 먹이였으나 호랑이가 사라진 뒤 표범 수컷의 사냥감이 됐다. 판테라(Panthera) 캄보디아 지부 제공
한편, 보호구역에서 생태관광에 나선 탐방객이 희귀한 야생동물을 목격할 때마다 마을 발전 기금에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이 라오스에서 성공을 거둬 무분별한 야생동물 밀렵을 막는 대안으로 주목된다.

야생동물보전협회(WCS) 등은 라오스 정부와 함께 남엣푸루에이 국립공원에서 4년 동안 시행한 ‘야생동물 목격 직불제’가 성과를 거뒀다고 과학저널 ‘플로스 원’ 2월28일 치에 실린 논문에서 밝혔다. 보전기관은 생태관광객한테 받은 입장료의 일부를 기금에 납부하고 있는데, 지역주민과 계약을 맺어 생태관광에 나선 탐방객이 보전 대상의 희귀동물을 목격할 때마다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불법사냥이 발생하면 지원금을 삭감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관광객이 호랑이를 목격하면 최고 등급의 인센티브인 25달러를 받는다.

라오스 남엣푸루에이 국립공원에서 생태관광에 나선 탐방객이 사슴을 목격하고 있다. 야생동물을 많이 관찰할수록 지역주민의 소득이 높아지는 전략을 성과를 거두고 있다. 레이 바이얼 제공
라오스 남엣푸루에이 국립공원에서 생태관광에 나선 탐방객이 사슴을 목격하고 있다. 야생동물을 많이 관찰할수록 지역주민의 소득이 높아지는 전략을 성과를 거두고 있다. 레이 바이얼 제공
그 결과 보호구역 안에서의 밀렵은 늘어나지 않았고 보호구역 밖에서의 사냥이 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관광객이 목격한 희귀 야생동물의 수가 크게 늘었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Rostro-Garc?a S, Kamler JF, Crouthers R, Sopheak K, Prum S, In V, Pin C, Caragiulo A, Macdonald DW. 2018 An adaptable but threatened big cat: density, diet and prey selection of the Indochinese leopard (Panthera pardus delacouri) in eastern

Cambodia. R. Soc. open sci. 5: 171187. http://dx.doi.org/10.1098/rsos.171187 Eshoo PF, Johnson A, Duangdala S, Hansel T (2018) Design,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a direct payments approach for an ecotourism strategy to reduce illegal hunting and trade of wildlife in Lao PDR. PLoS ONE 13(2): e018613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86133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