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에서 동물정책에 관한 요구가 쏟아지고 있다. 지난해 7월 동물자유연대 등 동물단체가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 분수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에 공장식 축산 개선 등 동물복지 정책을 촉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동물단체인 동물자유연대가 6월13일 전국 지방선거를 앞두고 후보자들에게 동물정책을 제안한 결과, 정의당 후보들이 가장 높은 정책 수용 의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자유연대는 5일 보도자료를 내어 동물정책을 제안해 응답한 자치단체장 및 교육감 후보자 189명의 결과를 공개했다. ‘6.13 동물을 부탁해' 캠페인을 통해 후보자 841명에게 보낸 정책제안 질의서에 189명이 대답한 결과(응답률 22.5%)다. 정의당이 23명 후보자 중 13명이 응답해 가장 높은 응답률(56.5%)을 보였으며, 자유한국당(22.7%), 바른미래당(21.5%), 더불어민주당(19.0%), 민주평화당(15.9%) 순으로 나타났다.
정의당은 동물정책에도 적극적이었다. 정의당은 동물자유연대가 제안한 5개 분야 20개 정책에 대해 평균 97.3%의 채택률을 기록했다. 이어 바른미래당(86.3%), 더불어민주당(76.0%), 자유한국당(72.6%), 민주평화당(70.0%) 순이었다.
지방자치단체장 후보들이 가장 많이 채택한 정책은 △시민대상 반려동물 에티켓 교육 인프라 구축(92.2%) △생산·판매업 관리감독 강화(〃)였고 △밀렵행위 단속 강화(91.6%)가 뒤를 이었다.
채택률이 가장 낮은 정책은 찬반 민원이 종종 대립하는 △길고양이 급식소·화장실 설치(49.4%)였다. 지자체 예산이 필요한 △직영 동물보호소 설치(63.3%) △유기동물 입양률 향상을 위한 입양센터 설치(65.7%)도 채택률이 낮았다. 동물자유연대는 “3개 정책 모두 유기동물·길고양이 관련 정책”이라며 “유기동물과 관련한 사회 문제가 발생하는 속도에 견줘 후보자들의 의식과 정책 마련 의지가 뒤따르지 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지자체별로 보면, 서울시장 후보의 경우 박원순(더불어민주당), 안철수(바른미래당), 김종민(정의당), 김진숙(민중당), 신지예(녹색당), 우인철(우리미래), 최태현(친박연대) 후보가 동의점수 A등급을 받았지만, 김문수(자유한국당) 후보는 C등급을 받았다.
인천광역시장 후보자의 경우 문병호(바른미래당), 김응호(정의당) 후보가 A등급을 받은 반면, 유정복(자유한국당) 후보는 B등급을 받았으며, 박남춘(더불어민주당) 후보는 D등급을 받았다.
경기도지사 후보자는 제안 후보자 5명 가운데 2명이 답변을 했다. 이홍우(정의당) 후보가 A등급을, 이재명(더불어민주당) 후보가 B등급을 받았다. 남경필(자유한국당), 김영환(바른미래당), 홍성규(민중당) 후보는 응답하지 않았다고 동물자유연대는 밝혔다.
이번 정책 제안은 동물자유연대가 시민 1만249명을 대상으로 정책 수요 설문조사를 토대로 만들었다. 설문조사에 참가한 시민 10명 중 9명은 △불법 개농장에 대한 단속·관리 미흡(90.1%)이 가장 시급하다고 꼽았고 △동물에 대한 생명존중 인식 부족(89.8%) △불필요한 생체해부실습(88.0%) △동물학대 사건의 증가(84.8%) 등이 뒤를 이었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아무래도 현직 도지사나 시장, 군수들이 지역 내 예산의 책정 상태나 기존 정책을 가장 잘 아는 만큼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답변을 한 경향이 있다. 그렇다고 후보자들이 현실 탓만 하며 안주할 것이 아니라 생명존중 및 동물과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을 향한 지향점을 갖고 적극 동물정책을 펼쳐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6.13 동물을 부탁해' 캠페인의 지역별 후보자들의 항목별 응답은 동물자유연대 누리집(www.animal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