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예산군에 위치한 식용견 농장의 철장에 갇힌 한 개가 밖을 내다보고 있다. 동물권행동 ‘카라’가 각 지역 후보에게 보낸 동물권 질의서의 답변은 조금씩 결이 달랐지만, 식용견 관련 질의에 대해서는 대부분 ‘동의’를 표했다. 예산/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전국 시도지사 후보와 특정 지역 구·시·군장 후보들이 생각하는 동물권은 어디까지일까? 동물권행동 ‘카라’가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국 17개 지역권 시도지사 후보와 카라가 꼽은 10개 특성화 지역단체장 후보들에게 동물권 질의서를 보내 답변 받은 결과를 공개했다.
응답률은 17개 지역 전국 시도지사 후보는 71명 가운데 33명이 답변해 46.5%를 보였고, 특성화 지역 10곳의 37명 가운데는 9명이 답변해 24.3%의 응답률을 보였다. 특성화 지역은 카라가 꼽은 동물권 현안이 있는 지역으로, 김천, 정읍, 여주, 김포, 성남, 부산 북구, 울릉군, 화천군, 익산, 파주 등이다. 카라는 이들 지역에 식용견 농장과 개 시장, 탁상행정 살처분, 소싸움 경기장 추진, 지역축제에 동물희생, 시보호소 문제 등이 있다고 밝혔다.
각 후보에게 보낸 공통질문에는 △후보의 동물권 인식도 △시 보호소 △동물보호 행정 △길고양이 △개 △농장동물 △전시·야생동물 △동물실험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물권 관련 문항이 담겼다. 이를테면 “헌법에 동물권 명시”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후보들은 “필요성에 공감하며 매우 동의, 정책실현을 공약을 통해 명시적으로 약속할 수 있다”는 동의지수 10점부터, “필요성에 공감하지 않으며 동의하지도 않는다”는 동의지수 -10점까지 응답할 수 있었다.
서울시장 후보 가운데는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정의당 김종민, 녹색당 신지예, 우리미래당 우인철 후보가 답변을 보냈다. 카라가 제시한 동물권 정책에 대한 동의지수는 김종민 후보와 신지예 후보가 160으로 가장 높았고, 우인철 후보는 150, 박원순 후보는 95의 동의지수를 표했다.
부산광역시는 유일하게 모든 후보가 답변을 보내왔으며 부산시에 보낸 특성화 질문인 구포시장 개식용 산업을 단속하고 개식용 산업이 종식되어야 하는데 동의하느냐는 질의에 더불어민주당 오거돈, 정의당 박주미, 무소소 이종혁 의원은 5(필요성에 공감하며 매우 동의하고 정책실현을 약속할 수 있다)의 동의지수를 보였고, 자유한국당 서병권, 바른미래당 이성권 후보는 공약을 통해 명시적으로 약속한다는 의견을 더한 10의 동의지수를 표했다.
광주는 민중당 윤민호 후보를 제외하고 모두 답변을 보내왔으며 더불어민주당 이용섭, 바른미래당 전덕영, 정의당 나경채 후보가 각각 80, 140, 160의 동의지수를 표했다.
반면 모두가 답을 보내지 않은 지역도 있었다. 대구, 세종시, 강원도 시도지사 후보들은 아무도 응답하지 않았다.
경기도의 경우 더불어 민주당 이재명 후보, 정의당 이홍우 후보만 답변을 보내왔다. 두 후보는 각각 95, 100의 동의지수를 보였다. 경기도는 카라 조사 결과 식용견 농장이 가장 많이 분포한 지역으로, 후보들에게 식용견 농장 근절에 대한 질의를 했는데 두 후보 모두 5의 동의지수를 표했다.
전북의 경우 가장 많은 특성화 질문이 쏟아졌는데 △개농장 △정읍소싸움 △동물복지농장 AI 비감염 닭에 대한 살처분 명령 △공장식 대량 밀집 사육 대안 △시보호소 관리 문제 등을 물었다. 이에 정의당 권태홍 의원과 민중당 의원은 모든 질의에 매우 동의한다는 동의지수 10을 답변으로 선택했다. 카라가 꼽은 특성화 지역인 정읍의 경우, 정읍시장 후보 8명에게 동물권 질의와 개농장, 소싸움, 계열화 문제 등을 추가로 질의했지만 아무도 답을 하지 않았다.
이번 지방선거를 앞두고 ‘동물권 투표’를 독려 중인 카라는 홈페이지에 각 지역권 후보들의 문항별 답변 동의지수를 올려 비교가 가능하도록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카라는 “동물권 공약이 없거나 깊은 고민이 담기지 않은 동물공약이 대부분인 상황에서 시민의식 수준에 맞춤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동물을 위하는 유권자들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 싶었다”고 취지를 밝혔다.
신소윤 기자
y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