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인간과동물

독도에는 어떤 생명들이 살고 있을까

등록 2018-08-10 11:15수정 2018-08-10 13:51

[애니멀피플] 주말부터 서울어린이대공원 ‘독도 생물’ 전시회
독도강치. 이지윤, 37×52㎝, 연필·콘테, 2018.
독도강치. 이지윤, 37×52㎝, 연필·콘테, 2018.
우리땅 독도에는 어떤 생물이 살고 있을까. 8·15 광복 73주년을 맞아, 오는 11일부터 17일까지 서울 광진구 서울어린이대공원 바다동물관에서 ‘독도 생물자원 지키기’ 작품 전시회가 열린다.

서울어린이대공원을 운영하는 서울시설공단은 9일 “멸종된 독도강치와 독도에서 서식하는 동·식물을 그린 작품 36점이 전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의 작품은 선화예술고등학교 미술부 동물보호동아리 ‘선화동물지킴이’가 제작했고, 학생들이 전시회에 직접 나와 작품 해설을 할 예정이다.

독도강치는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인들의 강제 포획 때문에 자취를 감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전시회의 의미는 광복절을 맞아 멸종된 독도강치의 사연을 되돌아보고 독도의 다양한 생태 자원을 보여줌으로써 독도의 생물 주권이 우리나라에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기억하는 것이라고 서울시설공단은 밝혔다.

전시회를 준비한 선화예고 학생들은 재능기부 봉사로 8개월 동안 작품을 준비했다. 선화예고 재학생 33명과 더불어 3명의 졸업생이 재능기부 봉사에 참여했다고 선화예고 동아리 담당자는 말했다. 이 동아리가 서울어린이대공원과 함께 전시회를 준비한 것은 지난해 ‘멸종위기 야생동물 이야기’ 전시회에 이어 두 번째다.

전시회 입장료는 무료다.

안예은 교육연수생 seoulsouljazz@gmail.com, 남종영 기자

독도 괭이갈매기. 김세연, 37×52㎝, 파스텔·펜, 2018.
독도 괭이갈매기. 김세연, 37×52㎝, 파스텔·펜, 2018.

노랑부리백로와 독도 식물. 전하영, 31.8×46.8㎝, 포스터물감, 2018.
노랑부리백로와 독도 식물. 전하영, 31.8×46.8㎝, 포스터물감, 2018.

독도 해국. 김민서, 53×65.2㎝, 수묵담채, 2018.
독도 해국. 김민서, 53×65.2㎝, 수묵담채, 2018.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