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하고 있는 황오리. 공기가 희박하고 추운 히말라야산맥을 넘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티 이미지 뱅크
고산 비행 오리계 챔피언
고산 등반에 최대 장애는 희박한 공기다. 보통 사람이 고산증을 느끼는 해발 4000m에 이르면 공기 속 산소 농도는 해수면의 절반으로 떨어진다. 게다가 양력이 줄어들어 새들이라면 날개를 더 자주 펄럭여야 한다.
쇠재두루미와 줄기러기는 히말라야를 거뜬히 넘나든다. 가혹한 고공비행을 하는 새 목록에 황오리가 추가됐다. 비행능력과 거리가 멀어 보이는 오리가 어떻게 이런 비행을 하는 걸까.
영국 엑서터대 등 국제 연구진은 티베트고원에서 번식하고 미얀마, 인도 등의 저지대에서 월동하는 황오리가 히말라야를 거쳐 이동할 것으로 추정하고 15마리에 위성추적장치를 붙여 조사했다. 예상대로 황오리는 최고 6800m 고도로 히말라야를 넘어 이동했다. 춥고 힘든 고공비행을 즐기는 건 아니었다. 보통은 높은 봉우리를 피해 5000m 고도로 날았다.
미얀마와 인도의 황오리는 24일에 걸쳐 1418㎞ 떨어진 중국 남부로 이동했는데, 저지대에서는 흩어져 날다 고산을 넘을 때는 좁은 통로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속도는 시속 49㎞였다. 저산소 상태에 새들이 어떻게 생리적으로 적응했는지는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았다. <조류생물학저널> DOI: 10.1111/jav.01443
노는 개미는 예비 노동력 확인
무리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빈둥거리는 개미는 예비 노동력임이 밝혀졌다. 식별 페인트를 칠한 개미들. 다니엘 샤르보노 제공
개미와 베짱이 우화와 달리 개미는 그렇게 부지런한 동물이 아니다. 개미집을 들여다보면 많은 개미가 온종일 하릴없이 빈둥거린다. 굴속을 이리저리 다니다 새끼 돌보는 일을 거드는가 싶다가 곧 다른 일개미와 노닥거리는 등 실제로 도움 되는 일은 하지 않는다. 이런 게으른 ‘일꾼’은 꿀벌, 뒤영벌, 말벌, 흰개미, 개미 등 사회성 곤충 상당수에서 발견되며, 놀고먹는 일꾼의 수는 개체 수의 절반에 이른다. 이렇게 게으른 일꾼이 많은데도 사회성 곤충은 어떻게 번성할까.
미국 애리조나대 곤충학자 등 국제 연구진은 이 지역 개미를 대상으로 실험해 게으른 개미가 예비 노동력이며, 집단의 유연성과 회복 탄력성을 높인다는 것을 증명했다. 연구자들은 개미의 머리, 가슴, 배에 다른 색깔 페인트로 점을 찍어 개체별로 식별이 가능하게 한 뒤 녹화하는 방식으로 실험했다.
이 개미는 약 40%가 아무 일도 안 했는데, 연구자들이 가장 활동적인 일꾼의 20%를 제거하자 1주일도 안 돼 놀던 개미가 빈자리를 채웠다. 먹이를 물어 오거나 새끼를 돌보는 일개미가 차출되는 일은 없었다. 게으른 개미들은 언제 그랬냐는 듯 열심히 일했다. 반대로 게으른 개미의 20%를 제거했을 때는 2주일이 됐지만, 전혀 보충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게으른 개미의 배가 팽창해 있어 이들이 먹이가 부족할 때 식량으로 쓸 알을 낳는 ‘살아 있는 식품 저장고’ 구실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플로스 원> DOI: 10.5061/dryad.77110
※ DOI는 디지털 논문 고유식별자입니다. 해당 논문을 인터넷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