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31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위치한 전두환 전 대통령의 집으로 가는 골목 입구에서 경찰이 폴리스라인을 치고 통행을 제한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경찰, 서울시에 교환 제안
“범법자 경호 상식 안맞아”
누리꾼 ‘시유지 환수’ 촉구
“범법자 경호 상식 안맞아”
누리꾼 ‘시유지 환수’ 촉구
경찰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집 경호동으로 써온 서울시 소유지를 계속 쓰겠다며 국유지와 바꾸는 방안을 내놓고 서울시와 협의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누리꾼들은 ‘시유지를 환수하는 게 마땅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21일 서울시 등의 말을 종합하면, 서울지방경찰청은 서울시가 지난 6일 ‘오는 4월 말로 해당 시유지의 무상사용 기간이 끝난다’는 공문을 보낸 뒤 시와 협의에 나서, 최근 ‘경호동을 국유지와 교환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경찰은 서울 종로구 옥인동 한옥 터나 성북구 성북동의 나대지를 교환 대상으로 꼽았다. 앞서 서울시 공문을 받은 경찰은 지난 13일 “경호동 부지가 (전 전 대통령) 사저와 인접해 있는데다 지대가 높아 위험물 투척이 쉽다”며 “유상 사용을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는 데 협조하겠다”고 답했다. 유상 사용에 합의하면 경찰은 해마다 시에 1700만원을 내야 한다.
정경숙 서울시 문화사업팀장은 “경찰이 ‘경호에 시유지가 꼭 필요하다’고 답변해왔다”며 “유상 임대할 경우 3년마다 계약을 다시 해야 하는 점 때문에, 경찰이 국유지와 교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경찰이 제시한 국유지들은 경호동 터보다 땅값이 비싸, 서울시는 가격이 맞는 다른 터를 찾아달라고 경찰 쪽에 요청했다. 전 전 대통령 집 경호동 터의 감정평가액은 8억원이다. 경찰이 제안한 옥인동 한옥 터나 성북동 나대지는 10억원 미만이지만 경호동 터보다는 비싸다고 한다.
경찰의 ‘경호동 계속 사용’ 방침에, 트위터 이용자 @kbj****은 “국민을 죽이고 국민 돈 빼앗아 챙긴 범법자를 구태여 경호한다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는다. 시유지를 당장 환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29일 박원순 서울시장이 ‘전 전 대통령 집 경호동을 폐쇄할 수 있는지’ 묻는 트위터 글에 ‘검토해보라’고 했다고 답하면서 경호동 터 환수 문제가 불거졌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한-미FTA ‘3월15일 0시’ 발효
■ 집 인터넷 접속방법 많은데 1회선당 1개만 하라고?
■ “돈봉투 배달시켰는데 택배기사를 구속 기소”
■ 유언 맥그레거 ‘남자 마음’ 잡을까
■ 담뱃값 올리더니…필립모리스 울상
■ 한-미FTA ‘3월15일 0시’ 발효
■ 집 인터넷 접속방법 많은데 1회선당 1개만 하라고?
■ “돈봉투 배달시켰는데 택배기사를 구속 기소”
■ 유언 맥그레거 ‘남자 마음’ 잡을까
■ 담뱃값 올리더니…필립모리스 울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