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적과다·고박부실 의심 만은대
좌현 램프 굴착기와 승용차 하역
선체조사위 “정식 문제제기 할 것”
좌현 램프 굴착기와 승용차 하역
선체조사위 “정식 문제제기 할 것”
해양수산부가 세월호 선체 보존을 바라는 목소리를 듣지 않고 일방적으로 선체를 훼손해 논란이 일고 있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는 3일 “세월호 선체를 훼손하는 등 고의적으로 조사를 방해하면 형사처벌 대상이 된다. 지난 1일 이뤄진 선미 좌현 램프(차량 출입문)의 굴착기와 승용차를 끌어내린 조처를 중대하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선체조사위는 “지난달 28일 해양수산부에 공문을 보내 세월호의 조타실, 기계실, 기관실, 화물창 등 4곳은 사고 원인을 밝히는 데 중요한 만큼 훼손하지 말아 달라고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선체조사위는 “하지만 해양수산부는 아무런 협의도, 통보도 없이 좌현 램프를 막고 있던 굴착기와 승용차를 부두로 하역했다. 이런 위치 변동에 따라 화물의 적재 상황을 추정하기 어렵게 됐다”고 덧붙였다. 김창준 선체조사위원장은 “고의로 조사를 방해하면 5년 이하 징역 등 처벌을 받는다. 위원들이 정식으로 임명장을 받고 나면 정식으로 이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말했다.
4·16 참사 가족협의회는 “해양수산부가 인양 과정에서 번번이 소조기에 맞춰야 한다는 핑계로 램프를 절단하고, 구멍을 뚫더니 끝내 화물까지 옮기고 있다”며 “더는 선체 훼손을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가족협의회 사무처 장동원(47) 팀장은 “화물칸은 과다 선적과 고박 부실로 의구심이 많은 구역이다. 바닷물이 쏟아져 들어와 급속하게 침몰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자꾸 증거들을 은폐하는 것 아니냐”고 우려했다. 유가족인 유민양의 아버지 김영오(49)씨는 “유가족들이 세월호를 보고 싶어 여기까지 와서 노숙을 하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힘들어도 선체 처리를 옆에서 지켜보면서 온전하게 지키겠다”고 다짐했다.
이런 지적에 대해 해양수산부는 “다음 소조기인 5~6일에 세월호를 육상에 올리기 위해 특수운송장비인 모듈 트랜스포터를 진입시킬 통로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운반선 위의 진흙을 서둘러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해 굴착기와 승용차를 빼냈다”고 밝혔다. 이철조 해양수산부 인양추진단장은 “운반선 위에 쌓여있는 진흙을 제거하려면 80~100명이 빈번하게 갑판 위를 오가며 수작업을 해야 한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진흙 제거 작업을 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처였다. 선체조사위와 사전에 협의하지 않은 점은 불찰이었고 죄송스럽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수습자 가족들은 “선체가 수면 위로 올라온 뒤 자꾸만 부식이 되고 있어 가슴이 타들어 간다. 선체보다 사람이 중요하다. 사람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법에 사람을 맞추지 말고, 사람에다 법을 맞추었으면 좋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목포/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