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내부 수색작업이 시작된 18일 오후 목포신항에 거치된 세월호 좌현에서 작업자들이 선체 내부에서 양동이를 들고 나오고 있다. 목포/연합뉴스
세월호 미수습자를 찾는 본격적인 내부 수색이 18일 시작됐다.
해양수산부는 이날 목포신항 세월호 현장수습본부에서 브리핑을 통해 “육안 관측과 영상 촬영을 통해 내부의 상태를 어느 정도 파악했다. 3개월 일정으로 미수습자 9명을 찾기 위한 내부 수색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초기에는 단원고 학생들이 머물렀던 4층 에이(A)데크에 6곳, 일반 승객이 머물렀던 3층 비(B)데크에 3곳 등 진출입구 9곳을 만들어 수색을 펼친다. 수색에는 9개 조 인력 70여명이 참여한다. 1개 조 8명은 선체정리업체인 코리아쌀베지 직원 5명, 해경구조대원 1명, 119구조대원 1명, 해양수산부 공무원 1명 등으로 구성된다.
해양수사부가 18일 공개한 세월호 내부 모습. 해양수산부 제공
첫날인 이날 오전 9시30분 객실이 있는 4층의 선수 좌현에 가로 1.2m 세로 1.5m 크기로 진출입구를 뚫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미 지난 8일 사전조사를 위해 4명이 창문으로 들어가 24m 진입했던 공간이다. 선체를 뚫어 진출입구를 확보하면 수색팀 1개 조 8명이 곧바로 진입한다. 수색은 7m 높이로 쌓여있는 지장물을 수거하면서 유골이나 유해가 있는지 탐색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또 이날 오후 1시 4층 선미 하단에 있는 구멍으로 진입하기 위해 장애물인 안전용 손잡이(핸드레일)을 제거했다.
앞으로 4층에는 좌현 쪽에 가로 1.2m 세로 1.5m 크기의 진출입구 4곳을 뚫고, 선미 쪽 상·하단에 있는 구멍 2곳을 활용해 수색을 진행한다. 철재 벽체가 남아있는 중앙 쪽은 내부에 사다리를 설치해 위·아래로 수색한다. 3층의 경우 선수 쪽 1곳에 진출입구를 뚫어 선미 방향으로, 선미 쪽 우현 상판과 하단의 구멍 2곳을 통해 선수 방향으로 각각 전진하며 작업한다. 3층과 4층을 관통하는 내부 통로 2곳도 뚫을 내부를 정리한다는 방침이다.
수색팀은 유해발굴 전문가한테 교육을 받은 뒤 투입하고, 수색 때 뼛조각을 발견하면 작업을 중단한다. 이후에는 신원확인팀을 투입해 채증을 한 뒤 유전자를 대조한다.
목포/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