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2017 국정감사(국토교통위원회)’가 진행되고 있다.
인천시 일부 공기업과 출자·출연 기관이 경영난에도 임직원에게 성과급을 받는 등 방만하게 경영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호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완주·진안·무주·장수)이 인천시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인천교통공사는 2015년 97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지만 2016년 사장에게 689만원, 본부장 3명과 감사에게 각각 650만원씩 성과급을 지급했다.
인천시 출자출연 기업인 인천종합에너지주식회사는 2015년 당시 부채비율이 1411%에 달하고, 적자운영에 따른 자본잠식으로 2015년 경영평가에서 ‘라’ 등급을 받았다. 하지만, 이 회사 대표는 전년도 경영실적평가에 따른 2016년 성과급으로 1억4750만원을, 임원도 1130만원을 각각 수령했다.
부채비율이 120%에 달하는 인천환경공단은 이사장 1390만원, 임원 975만원씩을, 인천시설관리공단도 이사장과 임원에 620만~690만원씩을 각각 성과급으로 줬다. 2015년 경영실적평가에서 ‘라’ 등급을 받은 인천광역시의료원도 성과급 명목으로 원장에 60만원, 진료부원장에 3490만원을 각각 지급했다.
인천시의 공기업과 출자·출연 기관들은 전년도 경영실적평가에 따라 급여와 성과급의 지급률을 정한다. CEO와 임원 성과급의 경우 ‘라’ 등급은 10~80%, ‘다’ 등급은 81~110%, ‘나’ 등급은 161~240%(임원 111~160%)의 성과급 지급률을 적용한다. 각 기관은 이 지침에 따라 성과급을 지원하고 있다. 다만 인천종합에너지주식회사는 인천시가 터만 제공, 성과급 등 경영은 운영자 별도의 지침에 따른다.
안호영 의원은 “지방부채 상당 부분을 지방공기업이 차지하고 있는데도, 방만한 경영에 책임은 지지 않고 해마다 성과급을 챙기고 있다”며 “경영실적평가별 성과급 지급률을 조정하고 부채 해결을 위해 공기업부터 건실한 운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인천/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사진 인천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