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 소속 국회의원, 시의원들이 액화천연가스(LNG) 누출사고가 발생한 한국가스공사 인천생산기지를 둘러 보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인천생산기지에서 지난 5일 액화천연가스(LNG) 누출사고가 발생했다. 이런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사고를 은폐하려 했다는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13일 한국가스공사 등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5일 오전 7시30분께 가스공사 인천기지 하역장에서 영하 162도의 엘엔지가 용량 10만㎘인 1호기 저장탱크에서 누출됐다. 사고는 인천기지에 들어온 LNG선에서 배관을 통해 저장탱크로 엘엔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공사는 한국가스안전공사나 산업통상자원부에 당일 보고했지만, 인천시와 연수구에는 24시간이 지난 뒤인 다음날 오전 8시30분 통보했다. 또 사고 발생 당일 누출된 엘엔지를 연소탑으로 배출하며 태워 불이 난 것으로 오인한 화재신고도 접수돼 인천소방본부가 출동했다. 자체 소방대를 보유한 인천기지는 가스 누출 사실을 알리지 않은 채 출동한 소방차를 돌려보냈다.
이런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사고 은폐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12일 인천기지를 방문한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당일 논평을 내고 “인천기지는 2005년에도 비슷한 가스 누출사고를 1년가량 은폐한 전력이 있다”며 철저한 진상규명과 대책을 촉구했다.
자유한국당 인천시당도 같은 날 인천기지를 방문한 자리에서 “사고 유형과 정도에 따라 관계 기관뿐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자동으로 알려 추가 피해나 의혹이 없도록 매뉴얼을 보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사고 발생 시 한국가스안전공사나 산업통상자원부에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하지만, 지자체는 의무 보고 대상이 아니다.
가스공사 쪽은 저장탱크 외부로 엘엔지가 누출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저장탱크는 안전을 고려해 내부탱크와 외부탱크의 이중 설계 구조로, 내부탱크에서만 미량의 가스가 누출됐다는 것이다. 공사 관계자는 “내부탱크에서 누출된 엘엔지를 연소탑으로 기화해 태워 사고를 수습했다. 불이 난 것이 아니어서 내부 소방대도 출동하지 않았다. 위험한 상황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가스공사는 이번에 누출사고가 난 인천기지 1호 저장탱크를 비우고 내부 정밀점검과 보수·보강공사를 벌일 예정이다. 인천생산기지에는 현재 20만㎘ 8기, 10만㎘ 10기, 4만㎘ 2기 등 모두 20기의 엘엔지 저장탱크가 설치돼 수도권에 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사진 민주당 인천시당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