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구와 동구에 걸쳐 있는 북성포구의 낙조 풍경. 북성포구살기시민모임 제공
인천 해안에 유일하게 남은 갯벌 포구인 ‘북성포구’가 결국 매립된다. 환경단체들은 매립공사 가처분 신청을 검토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11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 등의 말을 종합하면, 인천 중구에 있는 북성포구 일대 준설토 투기장 건설사업이 17일부터 착공한다. 갯벌 32만㎡ 가운데 7만㎡를 준설토 투기장(매립량 21만㎥)으로 메우고, 주변 호안 152m를 정비하는 사업이다. 공사비와 조선소 등 이전 보상비를 포함해 모두 300억원이 투입되며, 2020년까지 준공 예정이다.
1883년 인천항 개항과 함께 조성된 북성포구는 인천 해안에 남은 유일한 갯벌 포구이자 산업화 당시 건물과 정취가 남아 있는 곳이다. 1970~80년대 번성했던 이곳은 쇠퇴했지만, 여전히 해안 갯골로 어선이 드나들며 선상 파시가 열린다. 북성포구는 지난해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선정한 보존가치가 높은 자연유산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북성포구 준설토 투기장 위치도.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제공
하지만 주변에 공장과 횟집 등이 들어서면서 각종 오·폐수가 갯벌로 유입돼 ‘악취’로도 유명한 곳이다. 악취에 시달린 북성포구 인근 주민 청원으로 2015년부터 매립 사업이 추진됐지만, 시민사회·환경단체 반발로 중단됐다.
인천해수청은 갈등 조정을 위한 갈등영향분석 용역까지 진행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진 못했다. 공사를 시작하되 인천해수청, 중구청, 매립 찬·반 시민대표단,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만들어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함께 논의하는 쪽으로 결론 내렸다.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갯벌로 유입되는 오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고, 매립된 땅은 공원 등 시민 휴식공간으로 조성된다”며 “환경단체가 감사원에 청구한 공익감사도 기각됐다. 관련 행정 절차를 모두 마친 만큼 공사를 더는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시민사회·환경단체 등으로 구성된 북성포구살리기시민모임은 항의집회 등 공사저지를 위한 집단행동을 비롯해 법원에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을 검토 중이다.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은 “환경부나 인천해수청 모두, 준설토 투기장이 필요해서 하는 사업이 아닌 집단민원에 따른 환경개선 목적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런데도 매립만 고집하고 있다. 특히 매립하고 남은 갯벌에 대한 환경개선 계획조차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영종도 매립지도 골프장으로 개발되는 등 결국 북성포구도 ‘땅 장사’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