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시민사회단체 거버넌스로 구성된 시민사회 소통네트워크는 이학재·윤관석 국회의원, 인천상공회의소, 산업계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인천항공정비산업 육성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 인천시 제공
인천지역사회가 ’인천항공정비산업 육성’에 한목소리를 냈다.
인천시와 시민사회단체 거버넌스로 구성된 시민사회 소통네트워크는 이학재·윤관석 국회의원, 인천상공회의소, 산업계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인천항공정비산업 육성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열었다.
최정철 인하대 융합기술경영학부 교수는 ‘인천국제공항의 항공정비(MRO) 서비스 확대 및 강화방안’이란 주제 발표에서 “인천국제공항은 2023년 4단계 사업이 완료되면 연간 1억명이 이용하는 세계 3대 초대형 공항이 된다. 세계 주요 허브공항이 필수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항공정비 서비스를 벤치마킹해 미래 수요에 시급히 대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인천국제공항은 운송규모 대비 항공정비 서비스가 부족하다. 국내항공사와 외국항공사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강화해야 한다. 3000여 명의 정비인력을 추가 양성해 5000여 명 이상이 근무하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항공정비산업 특화단지의 필요성’이란 주제로 발표한 양해구 샤프에비에이션케이 대표는 “인천은 매일 1000여편 항공기가 이착륙하고 있으며, 국제기구 활동과 글로벌 비즈니스가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베이징 서우두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이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공항 주변에 항공정비 산업단지를 조성한 것과 비교 대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맹성규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정부는 항공정비산업을 2026년까지 세계 10위권 시장으로 육성시킬 계획이다. 토론회에서 오간 내용이 정책수립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 항공운송 규모는 연간 여객 1억명, 화물 400만t으로 세계 7위다. 그러나 운항 안전과 직결되는 항공정비산업은 세계 시장 점유율 2~3% 수준에 멈춰있다. 인천국제공항은 최근 하루 이용객 수가 21만명을 넘어섰다. 늘어나는 승객과 항공편에 비례해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이 2010년 3.9%에서 2016년 2분기 23.5%로 급증했다. 지난해 국내 항공정비 중 약 49%는 해외로 보내 수리해 들어왔다.
이에 인천국제공항 주변에 민간수요 중심의 항공정비산업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는 정부지원 군수 분야 항공정비 사업자로 사천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선정했다. KAI의 항공기 제조 경험과 지역 균형 발전을 선정 이유로 밝혔다. 민간부문 항공정비 분야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유보하고 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