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남구에는 4700여 가구의 빈집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남구 제공
인천시 남구가 전국 최초로 ‘빈집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인천의 원도심인 남구는 지은 지 40년 이상이 지난 노후 주택들이 즐비하고, 빈집으로 추정되는 주택이 많아 안전 및 범죄 노출 등의 우려가 지속해서 제기된 곳이다.
남구는 지난해 인천시의 빈집실태조사 선도사업 대상 지자체로 선정, 3월 말까지 사업을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이 2월9일부터 시행에 앞서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등을 미리 점검하고자 선도적으로 추진한 것이다.
한국국토정보공사가 실태조사 사업을 맡았다. 남구 전체 주택 가운데 빈집으로 추정되는 4700여 가구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가 이뤄지며, 1차 조사 결과 2700여 가구가 비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거주자 확인이 되지 않은 나머지 2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추가로 2~3차 현장 방문 조사가 이뤄진다.
빈집으로 추정되는 주택의 관리현황과 건물 안전 상태를 조사한 뒤 등급을 산정하게 된다. 안전등급 1~4등급으로 나눠,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3~4등급은 우선으로 철거할 계획이다. 비교적 양호한 1~2등급은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소유자와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이 공동으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을 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전체 사업비 2억5600만원 가운데 1억7000만원(60%)을 인천시가 부담한다.
남구 관계자는 “빈집은 붕괴나 범죄 노출 등의 위험이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번 선도사업 결과를 토대로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