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택시승강장 지역별 배차 안내도.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택시 공동사업구역 내에서 지역과 상관없이 순서대로 배차(공동배차)하거나 희망지역 자율선택으로 운영하자고 정부에 건의했다.
인천시는 인천택시업계의 요구를 수용, 이런 내용의 건의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고 26일 밝혔다. 공동배차는 지역과 관계없이 입차 순서대로, 희망지역 자율선택제는 입차 때 배차 희망지역을 운전기사가 선택하고, 그에 따라 배차하는 방식이다.
국토부는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 뒤 서울과 인천, 경기(고양, 김포, 광명, 부천) 등 6개 도시의 공동사업구역으로 지정, 지역과 관계없이 순서대로 승차하는 통합배차방식(자율영업)으로 운영했다. 이후 2013년부터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승차거부나 호객행위를 없애겠다며 공항 대기장 입차 순서에 따라 시·도(행선지)별로 배차되는 지역별 배차방식으로 전환해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인천지역 택시업계는 이런 지역별 배차방식이 상대적으로 운행 거리가 짧은 인천 택시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며 공동사업구역 폐지 또는 예전처럼 통합배차방식으로 전환을 요구해 왔다. 특히 지역별 배차는 ‘공동사업구역 지정’ 취지에도 역행한다는 것이다. 고상욱 전국택시노동조합 인천지역본부 사무국장은 “공동사업구역 지정은 택시 운행의 지역적 제한을 풀어준 것”이라며 “인천택시는 몇 시간을 기다려 1~2만원 버는 셈이다. 지역별 배차제는 인천택시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나쁜 제도”라고 지적했다.
인천시도 애초 국토부의 공동사업구역 지정이나 공항공사의 지역배차가 3개 광역단체장과 협의 없이 독단적으로 진행된 만큼 국토부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이 문제를 해결할 책임이 있다며 건의안 수용을 요구했다. 이규학 인천시 택시정책팀장은 “지난 18일 개항한 제2여객터미널만이라도 택시 공동사업구역 배차방식을 바꿔 인천 지역경제가 상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국토부가 인천국제공항공사에 강력한 변경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