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옹진군 대이작도 풀등.사진 황해섬보전센터 제공
인천지역 어민들이 해양생태보전구역으로 지정된 옹진군 해역의 ‘풀등’ 주변 바닷모래 채취에 반발하고 나섰다. 골재 사업자들이 향후 5년간 서울 남산 규모에 버금가는 바닷모래를 채취하려 하기 때문이다.
수협, 한국수산업총연합회, 황해섬보전센터,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등은 20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골재협회 인천지회에서 지난해 제출한 ‘해역이용협의서’의 반려를 촉구했다. 인천지회는 지난해 2018~2022년 사이 장안서 해역에서 5000만㎥의 바닷모래를 채취하겠다며 ‘해역이용협의서’를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제출한 바 있다. 장안서 해역은 2013년 해양수산부가 해양생태보전구역으로 지정한 대이작도 수중 모래섬 ‘풀등’에서 불과 2~3㎞ 떨어진 곳이다. 풀등이란 밀물 때는 강물이나 바닷물에 잠기고, 썰물 때는 섬처럼 드러나는 모래더미를 말한다.
바닷모래 채취 예정지인 장안서 해역 위치도. 사진 황해섬보전센터 제공
이들은 “지난 30년 동안 인천 앞바다에서만 서울 남산의 5배가 넘는 2억8000만㎥ 규모의 바닷모래를 퍼올렸다. 이로 인해 인천의 아름다운 백사장이 자갈밭으로 변모했고, 생물 서식지도 파괴됐다. 그런데 또 남산 규모의 바닷모래를 퍼올린다면 이것은 해양 생태에 대한 유례없는 만행”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어 “이렇게 많은 바닷모래를 퍼올리면 그 부근에 있는 풀등도 무너져내려 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협, 한국수산업총연합회, 황해섬보전센터,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등은 20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장안서 해역 ‘해역이용협의서’ 반려를 촉구했다. 사진 황해섬보전센터 제공
이들은 공유수면 점·사용료로 연간 220억원의 세금수입을 올리는 옹진군에도 일침을 놓았다. 이들은 “바닷모래 채취로 고작 168억원의 수입을 얻고, 무려 531억원을 연안침식 복구비로 지출한 전남 신안군의 비극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장정구 황해섬네트워크 섬보전센터장은 “황금어장이던 인천지역 어획량은 지난 25년 동안 68%나 감소했다”며 “인천해수청은 무분별한 바닷모래 채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역이용협의서를 즉각 반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해수청은 골재 수급계획의 근거와 바닷모래 채취가 풀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완하라고 골재협회 인천지회에 2차례 요구한 상태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