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만 덜렁…병원 등 수년째 답보
인천경제청, 2단계 용지 공급 검토 중
시민단체 “특혜성 땅장사일 뿐” 비판
인천경제청, 2단계 용지 공급 검토 중
시민단체 “특혜성 땅장사일 뿐” 비판
연세대학교가 캠퍼스만 덜렁 짓고 7년여째 허허벌판인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또 용지만 매입하겠다고 나서 ‘땅장사’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2006년 1월 연세대와 송도 5-7공구 92만5000여㎡, 송도 11공구 89만2000여㎡의 용지 매매 협약을 맺었다. 이어 2010년 9월에는 3900억원을 들여 1000병상 규모의 송도세브란스병원을 짓기로 협약했다.
이후 연세대는 1단계 용지 개발이익으로 2010년 3월 송도캠퍼스(61만㎡)를 개교했다.
하지만, 약속했던 다른 협의 사항은 이행하지 않고 있다. 송도세브란스병원 건립은 물론, 7000~8000명 수용 규모의 기숙사 건립, 한국어학당·외국어학당, 나노기술 연구과학단지 조성 등은 지금도 감감무소식이다.
이런데도 송도 11공구 2단계 용지 매매를 위한 양쪽 기관의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연세대 쪽은 송도세브란스병원 유치를 뼈대로 2단계 용지를 싼값에 공급해달라고 인천시에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애초 협약대로 종합병원이 아닌 임상·연구병원으로 사업을 축소하는 안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정이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신규철 인천평화복지연대 정책위원장은 “병원 유치를 빌미로 땅장사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 주민 숙원인 종합병원 유치를 앞세워 협상에 유리한 카드로 활용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세대의 땅장사 논란은 지난 2016년 용인 동백세브란스병원 건립 과정에서도 불거진 바 있다. 기존 용인세브란스병원 일대를 아파트 용지로 개발하도록 용도지역 변경하고, 동백세브란스병원 주변을 묶어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을 약속받고 중단된 공사를 재개했다.
용지 공급 특혜논란도 재점화될 것으로 보인다. 인천경제청은 2006년 1단계 용지 공급 당시 조성원가 3.3㎡당 158만원의 3분의 1도 되지 않는 50만원에 용지를 공급했다. 당시 연세대 송도캠퍼스 유치는 송도국제도시 개발 성공을 위한 핵심(앵커)시설 중 하나여서 특혜논란이 덜했지만, 지금은 송도 개발 환경이 달라진 상황에서 특혜를 줄 명분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인천시 투자유치기획위원회에서 연세대가 요구하는 토지 가격과 투자 계획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토지공급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협의 및 확정된 내용은 조만간 내부 논의를 거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연세대 쪽은 인천경제청에 “협약사항을 이행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