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의 도움 없이 ‘나홀로 선거’를 치러야 하는 인천시교육감 예비후보들이 선거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선거펀드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30일 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의 말을 들어보면, 인천시교육감 후보 선거비용제한액은 13억3500만원이다. 제한액 범위 내에서 선거비용을 쓸 수 있다는 의미다. 정당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시교육감 후보는 막대한 선거비용을 본인이 충당해야 한다. 이 때문에 시교육감 후보들이 선거비용 마련을 위해 앞다퉈 선거펀드를 출시하고 있는 것이다. 선거펀드는 선거에 필요한 비용을 공개 모집을 통해 빌려 쓰고, 선거가 끝난 뒤 원금과 이자를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보수 성향 고승의(66·전 인천시교육청 기획관리국장) 예비후보는 이날 ‘청렴펀드’를 출시했다. 모금액 목표는 10억원으로, 1계좌당 1만원이다. 1인당 모금액 제한은 없으며, 목표 모금액을 넘어서면 펀딩을 중단한다. 고 후보는 “인천교육이 비리로 얼룩져 신뢰가 바닥까지 떨어졌다. 깨끗한 선거자금을 마련해 인천교육을 정상화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청렴펀드라고 이름 지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3월 진보 단일후보 선출된 도성훈(57·전 전교조 인천지부장) 예비후보는 지난 19일부터 ‘도성훈펀드’ 모집에 들어갔다. 13억원 목표로 진행된 펀드는 29일 현재 11억8900만원을 넘어섰다. 도 후보쪽의 박영대 선거캠프 홍보본부장은 “짧은 기간 동안 목표액에 육박하는 금액이 모였다. 도 후보에 거는 시민들의 기대가 얼마나 큰 것인지를 보여 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보수 성향 최순자(65·전 인하대 총장) 예비후보도 선거펀드 출시를 준비 중이다. 중도를 표방한 박융수(52·전 인천시교육청 부교육감) 예비후보는 선거 펀딩을 하지 않고, 유세 차량 운영 등을 최소화해 비용 부담을 낮추는 전략을 세웠다.
선거비용은 보전받을 수 있다. 다만, 득표율에 따라 달라진다. 득표율이 15%를 넘으면 전액, 10~15% 사이면 절반만 돌려준다. 하지만, 후보들은 선거가 끝난 뒤 선거비용을 보전받을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막대한 선거비용을 들이는 것에 고심하는 모양새다. 인천지역의 한 정치인은 “득표율이 10%가 안되면 선거비용을 보전받지 못해 자칫 빚더미에 올라앉을 가능성이 크다. 여론조사 추이 등을 살펴본 뒤 후보 등록일(5월24~25일) 이전에 중도 포기자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