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김종필 전 국무총리 빈소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지난 23일 별세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에게 정부가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한 일이 논란을 일으키면서 무궁화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상훈법 12조를 보면, 정치·경제·사회·교육·학술 분야에 공을 세워 국민의 복지 향상과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국민훈장이 수여된다. 국민훈장은 무궁화장, 모란장, 동백장, 목련장, 석류장 등 5등급으로 나뉘는데, 무궁화장이 국민훈장 가운데 최고 등급이다.
서훈은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추천을 하면 공적심사위원회 심사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최종 결정한다. 다만, 김종필 전 총리가 이미 사망했기 때문에 정부는 추서를 먼저하고 국무회의 의결을 추후에 진행하기로 했다.
국민훈장(전신인 문화훈장 포함)이 만들어진 1951년부터 지난해까지 무궁화장을 받은 포상자는 모두 809명이다. 이 가운데 전직 총리(총리 서리 포함)는 김종필 전 총리를 포함해 총 10명이다. 장면(제1공화국), 허정(제2공화국), 최두선(제3공화국), 남덕우(제4공화국), 유창순(제5공화국), 강영훈(노태우 정부), 황인성·이영덕(김영삼 정부), 박태준(김대중 정부) 전 총리가 무궁화장을 받았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45대이므로 역대 총리 가운데 4.5명에 1명꼴로 무궁화장을 받은 셈이다.
과거에도 김종필 전 총리처럼 무궁화장 수여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어난 사례들이 있다. 2010년 사망한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가 대표적이다. 당시 황 전 비서가 숨을 거두자 정부는 황 전 비서에게 무궁화장을 추서했고, 사회적으로 찬반 논란이 빚어졌다. 또한 박근혜 정부에서 대법원 재판거래 의혹의 정점인 양승태 전 대법원장도 지난해 말 퇴임 때 대법원이 포상 대상자로 추천해 무궁화장을 받은 사실이 알려져 적절성 시비가 불거졌다.
총리를 지낸 인물 외에도 역대 무궁화장 주요 수훈자로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김용철·윤관·이용훈 전 대법원장 등이 있다. 성직자 가운데는 민주화 운동을 이끈 김수환 추기경과 ‘수단의 슈바이처’로 불린 이태석 신부 등이 무궁화장을 받았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