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을 앞둔 경기도 광주시 오포 양우내안애 지하주차장 벽면에 균열 등이 발생한 모습. 오포문형지역주택조합 비대위원회 제공
대규모 부실시공 의혹을 사고 있는 경기도 광주시 ‘오포 양우내안애’ 아파트(<한겨레> 7월5일치 13면)의 전수조사가 난항을 겪고 있다. 시공사인 양우건설 쪽이 ‘사용검사 승인’이 전제되지 않으면, 전수조사가 의미가 없다며 사실상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포문형지역주택조합 오포 양우내안애(15개동 1028가구) 아파트 정밀조사에 나선 최용화 경기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30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광주시 요청으로 지난 20일 양우내안애아파트 현장을 살펴본 결과, 부실시공이나 인위적인 시공, 잘못 시공으로 논란이 됐던 ‘동탄 부영아파트’와 마찬가지로 많은 문제가 보였다”고 밝혔다.
경기도 공동주택품질검수특별단장인 최 교수는 지난해 3월 화성 동탄2지구 부영아파트(18개동 1316가구) 사태 당시 조사단장을 맡아 부실시공을 밝혀낸 인물이다. 최 교수는 “아파트 지하 주차장의 누수나 결로는 물론, 건물 곳곳에 균열까지 발견했다. 설계 당시 도면부터 변경, 준공 도면까지 적정성을 검토해 봤을 때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광주시는 지난달 22일 민간 품질검수위원(3명)을 통해 해당 아파트를 상대로 조사를 벌인 결과, 건축 29건과 토목 13건 등 공용부문에서만 균열과 누수, 침수, 결로 등의 하자를 발견했다.
그러나 이 아파트 조합원들은 지난 5월과 6월 입주를 앞두고 사전점검을 벌인 결과, 모두 2만1703건의 하자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수조사를 요구했다.
이에 광주시는 광주시 건축심의위원이기도 한 최 교수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조합과 시공사인 양우건설이 50%씩 부담하는 조건으로, 최 교수에게 정밀검사 용역을 의뢰한 것이다.
하지만, 정밀조사 용역은 지난 26일 돌연 중단됐다. 광주시가 “양우건설 쪽이 동의하지 않는다”며 용역 중단을 통보한 것이다. 양우건설 쪽은 ‘사용검사 승인’이 전제되지 않으면, 용역조사를 할 의미가 없다’며 지난 12일 정밀조사 용역 합의된 사안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김동철 오포문형지역주택조합 비대위원장은 “양우건설이 부정적인 보고서가 작성될 것으로 짐작하고, 정밀조사를 거부하고 있다. 사용검사 기관인 광주시가 직접 선정한 조사단에 용역을 의뢰한 만큼, 조합이 전액 부담해서라도 마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하자 보완 지사 사항이 이행되지 않으면 사용검사 승인을 하지 않을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양우건설에서 정밀조사 용역 계약서에 사인과 동시에 사용검사 승인을 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검사 승인은 맞지 않아 원만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