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명찰 패용에 대한 경기도 시민들의 찬반 의견.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공무원들에게 명찰을 달도록 한 것을 놓고 논란이 이는 가운데, 경기도민 10명 중 8명은 공직자 명찰패용에 찬성했다. 그러나 공무원은 10명 중 2명만이 찬성하는 등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9일 경기도가 경기도 온라인 여론조사 시스템(경기넷)을 통해 2288명의 시민과 경기도청 내부 행정정보시스템을 통해 공무원 700명을 대상으로 ‘명찰 디자인 및 패용방식 선호도 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78%의 시민이 명찰패용에 찬성을, 22%가 반대의 뜻을 밝혔다.
반면, 공무원 중 명찰패용 찬성은 22%, 반대는 78%로 시민들의 찬반 의견과 정반대 결과를 보였다.
명찰패용에 찬성한 시민 1778명은 그 이유로 ‘행정 업무에 대한 책임감 향상’(37%), ‘가장 쉽게 공직자 신상과 업무를 알릴 수 있기 때문’(27%), ‘투명한 공개로 도민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18%) , ‘도민 행정 서비스 친절의 향상’(17%) 순으로 꼽았다.
공무원 명찰 패용에 대한 경기도청 공무원들의 찬반 의견.
그러나 명찰패용에 반대한 경기도청 공무원 540명은 반대 이유로 ‘신규 명찰 제작에 추가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37%), ‘대민원 업무가 많은 시군과 달리 경기도는 정책업무를 주로 수행하기 때문’(35%) 순으로 응답했다.
공무원 명찰패용에 대한 경기도청 공무원들의 반대 이유.
경기도는 도민과 공직자가 명찰패용 방식과 디자인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른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충분한 논의과정을 거쳐 해법을 마련하기로 했다.
공무원증·명찰 디자인 및 패용방식에 대한 물음에는 왼쪽 가슴에 패용하는 일반형 명찰 디자인(39%)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공무원증의 소속·성명을 확대하고 목에 걸거나 가슴에 패용하는 방식은 29%, ‘현 공무원증’이나 ‘국가 공무원증’ 선호의견은 각각 17%, 16%였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